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48)
이 수액엔 뭐가 들었을까?– 전해질 수액 종류와 쓰임새 한눈에 정리! 💧 이 수액엔 뭐가 들었을까?– 전해질 수액 종류와 쓰임새 한눈에 정리!병원에서 자주 보는 투명한 링거백.간단한 수분 보충부터 응급환자까지 다양하게 사용되지만, 그 안에 무엇이 들어 있는지 정확히 아는 사람은 많지 않죠.전해질 수액은 단순한 "물"이 아니라, 우리 몸의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고 생리적 기능을 지원하는 중요한 치료 수단입니다.오늘은 임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전해질 수액의 종류와 성분, 상황별 쓰임새를 간단하고 명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 전해질 수액이란?전해질 수액은 수분 외에 나트륨(Na⁺), 칼륨(K⁺), 칼슘(Ca²⁺), 염화물(Cl⁻), 젖산(Lactate) 등의 이온이 포함된 수액입니다.이러한 이온들은 체내에서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체액 삼투압 유지심장·근육·신경 기능 조절산-..
전해질 불균형: 저나트륨혈증부터 고칼륨혈증까지 한눈에 정리 전해질 불균형, 이렇게 위험할 수 있습니다저나트륨혈증부터 고칼륨혈증까지 한눈에 정리“몸이 저리고, 숨이 가쁘고, 머리가 멍하다?”이런 증상들이 단순한 피로나 스트레스 때문일 거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사실 전해질 불균형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전해질은 몸의 수분 균형, 신경 전도, 근육 수축, 심장 리듬 유지에 관여하는 아주 중요한 물질입니다.그중에서도 나트륨(Na), 칼륨(K), 칼슘(Ca), 마그네슘(Mg), 염소(Cl) 등이 주요한 전해질이죠.이번 글에서는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저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을 중심으로전해질 불균형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과 간호 대응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 전해질 불균형이란?전해질은 혈액, 세포액, 조직액 등 체액 내에 녹아 있는 이온 상태의 무기질입니다.몸의..
초보도 쉽게 배우는 간호기록지 작성법 간호기록 잘 쓰는 간호사가 환자도 살립니다초보도 쉽게 배우는 간호기록지 작성법간호기록은 ‘간호사만의 업무’가 아닙니다.그 기록 하나하나가 환자의 생명을 좌우할 수 있고, 의료진 전체의 판단에 영향을 줍니다.또한 법적 분쟁에서 중요한 증거가 되며, 의료서비스의 질을 반영하는 지표이기도 합니다.하지만 간호기록이 막연하게 느껴지는 간호학생이나 신규간호사는 많습니다.“무엇을 써야 하지?” “이건 써도 되나?” “언제, 얼마나 자세히?”이 글에서는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간호기록의 기본 원칙부터 실전 예시까지 모두 안내해드립니다.1️⃣ 간호기록의 3가지 핵심 원칙① 사실 기반으로 쓴다기록은 관찰한 것만 작성해야 하며, 추측이나 감정적 표현은 금지됩니다.예) “불안해 보임” → ד환자, 손을 떨고 이마에 땀이..
X-ray는 정상인데 잠복결핵? 양성 판정 후 꼭 알아야 할 것들 📌 X-ray는 정상인데 잠복결핵? 양성 판정 후 꼭 알아야 할 것들건강검진을 받고 결과지를 받아든 당신.“잠복결핵 양성”이라는 낯선 문구에 눈길이 멈춥니다.그런데 이상한 건, X-ray는 정상, 기침도 없고, 열도 없고, 몸 상태는 멀쩡하다는 겁니다.그래서 이런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이게 진짜 결핵일까?”, “치료가 꼭 필요할까?”, “혹시 괜히 약 먹고 부작용만 생기는 건 아닐까?”많은 사람들이 잠복결핵과 활동성 결핵을 헷갈려 하거나, 무증상이라 대수롭지 않게 여기지만,사실 잠복결핵은 **지금은 조용하지만 언제든 활성화될 수 있는 '숨은 위험'**입니다.이 글에서는 잠복결핵 양성이란 무엇인지, 왜 치료가 필요한지, 치료를 결정할 때 꼭 알아야 할 정보를 쉽게 풀어드립니다.검사 결과가 낯설고 막막..
결핵균은 음성인데 약을 먹어야 할까요? – 결핵성 심외막염 진단과 치료 가이드 결핵균은 음성인데 약을 먹어야 할까요? – 결핵성 심외막염 진단과 치료 가이드“결핵균은 안 나왔는데 결핵일 수 있나요?”“수치가 높긴 한데, 약을 바로 시작해야 하나요?”이런 질문은 결핵성 심외막염을 처음 접한 환자들 사이에서 자주 나옵니다.결핵이라고 하면 폐부터 떠올리는 분들이 많지만, 결핵균은 심장 주변을 싸고 있는 심외막까지도 침범할 수 있습니다.그리고 문제는, 이 경우 검사에서 결핵균이 바로 검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바로 이 때문에, 환자 본인도, 보호자도 혼란스러워지기 쉽습니다.결핵약을 먹기엔 애매하고, 그렇다고 놔두자니 찜찜한 상태가 지속되죠.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상황에 처한 분들을 위해결핵성 심외막염이란 무엇인지, 진단은 어떻게 내리는지, 약을 언제 시작해야 하는지꼭 알고 넘어가야 ..
갑상선암 수술 후 생존율, 경과 관찰, 생활 수칙까지 한눈에! 갑상선암 재발률은 얼마나 될까?수술 후 생존율, 경과 관찰, 생활수칙까지 한눈에!“갑상선암은 착한 암이라던데, 수술만 잘하면 끝나는 거 아닌가요?”갑상선암 진단을 받으면 많은 환자들이 이와 비슷한 말을 듣곤 합니다.실제로 갑상선암은 다른 암에 비해 진행 속도가 느리고 생존율도 높아 ‘예후가 좋은 암’으로 분류됩니다.그러나 ‘착하다’는 말만 믿고 경계를 늦추기엔 재발이라는 변수가 존재합니다.특히 갑상선암은 수술 후 수년이 지난 뒤에도 다시 나타날 수 있어,완치가 아니라 관리가 중요한 암이라는 점을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이 글에서는 갑상선암 수술 후의 재발 가능성, 생존율, 그리고 꼭 알아야 할 관리법까지,환자와 보호자가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정리해드립니다.갑상선암과의 싸움, 수술 이후가 진짜 시작입니다...
자궁내막증과 이차성 생리통, 어떻게 구분할까요? 🩸 단순 생리통 아니에요-자궁내막증과 이차성 생리통, 어떻게 구분할까요?“생리통이 너무 심해졌어요. 원래 이런가요?”한 달에 한 번 찾아오는 생리.많은 여성에게는 일상이지만, 때때로 통증이 너무 심해서 일상생활이 어려워질 때가 있습니다.하지만 그 생리통이 단순한 일차성 생리통이 아니라,자궁내막증이나 이차성 생리통의 신호일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오늘은 비슷해 보이지만 전혀 다른‘자궁내막증’과 ‘이차성 생리통’의 차이점과 감별 포인트를 정리해드립니다. 생리통의 두 가지 유형유형 원인통증 시기특징일차성 생리통호르몬(프로스타글란딘) 변화생리 시작 직전23일째다른 질병 없음, 10대~20대 초반에 흔함이차성 생리통자궁내막증, 자궁선근증, 자궁근종 등 기질적 질환생리 전중후 모두 통증20대 후반~30..
관상동맥조영술 결과-협착률 몇 %면 스텐트 시술이 필요할까? 🫀 관상동맥조영술 결과-협착률 몇 %면 스텐트 시술이 필요할까?병원에서 관상동맥조영술을 받은 뒤, 이런 설명을 들은 적 있으신가요?“혈관이 70% 정도 막혔어요.”“지금은 약으로 조절하고, 나중에 스텐트 시술을 생각해봅시다.”막혔다고 하니 당장이라도 시술을 해야 할 것 같지만,다른 한편으로는 ‘70%가 어느 정도로 심각한 걸까?’,‘스텐트는 꼭 해야 하는 걸까?’ 하는 고민이 생기기도 합니다.오늘은 관상동맥조영술 결과에서 자주 듣는 ‘협착률’과스텐트 시술이 필요한 기준을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협착률이란 무엇인가요?먼저, 관상동맥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중요한 혈관입니다.이 혈관이 좁아지는 정도를 숫자로 나타낸 것이 바로 협착률입니다.예를 들어, 혈관 지름이 원래 4mm인데,기름때(플라크)나 찌꺼기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