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응급약물 완전정복 시리즈

신규 간호사를 위한 응급약물 Q&A – 실무에서 자주 묻는 질문 총정리

728x90
반응형

《응급약물 완전정복 시리즈》

1편 🚨 응급실 필수 약물 TOP 10 – 신규 간호사가 꼭 알아야 할 기본
2편 💉 심정지 상황에서 사용하는 응급약물 – 에피네프린부터 아미오다론까지
3편 ⚡ 쇼크 유형별 응급약물 – 저혈량, 아나필락시스, 패혈성 쇼크 대응법
4편 🫁 호흡곤란 환자 응급약물 – 기관지 확장제부터 스테로이드까지
5편 🩺 부정맥 환자 응급약물 – 아트로핀, 리도카인, 마그네슘 황산염 정리
6편 💊 경련·발작 시 사용되는 응급약물 – 디아제팜부터 레버티라세탐까지
7편 🧠 고혈압성 위기, 뇌출혈 의심 시 응급약물 투여 가이드
8편 📦 응급카트 약물 구성 완전 해부 – 약물별 용도와 위치까지!
9편 ✅ 약물 투약 실수 방지를 위한 응급상황별 리마인드 체크리스트
10편 👩‍⚕️ 신규 간호사를 위한 응급약물 Q&A – 실무에서 자주 묻는 질문 총정리

 


🩺 신규 간호사를 위한 응급약물 Q&A – 실무에서 자주 묻는 질문 총정리


1️⃣ 들어가며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신규 간호사들은 다양한 응급약물을 접하게 됩니다.
그러나 약물명, 용량, 투여 경로, 부작용을 정확히 기억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실무에서 자주 묻는 응급약물 관련 질문과 답변을 Q&A 형식으로 정리했습니다.


2️⃣ Q&A로 알아보는 응급약물 핵심 포인트

❓ Q1. 심정지 상황에서 가장 먼저 사용하는 약물은 무엇인가요?

💡 에피네프린(Epinephrine)
용량: 1mg IV bolus, 3~5분마다 반복
작용: 혈관 수축 → 심장과 뇌 혈류 증가
투여 시 주의사항: IV 라인 확보 후 생리식염수로 플러시


❓ Q2. 서맥(Bradycardia)에서 사용하는 약물은?

💡 아트로핀(Atropine)
용량: 0.5mg IV every 3~5분 (최대 3mg)
효과: 부교감신경 억제 → 심박수 증가


❓ Q3. VF/VT 제세동에도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게 사용하는 약물은?

💡 아미오다론(Amiodarone)
용량: 300mg IV bolus, 필요 시 150mg 추가
투여 시 주의사항: 10분 이상 천천히 투여, 말초정맥 주입 시 정맥염 주의


❓ Q4. 쇼크 상태에서 혈압을 올릴 때 사용하는 약물은?

💡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용량: 0.05~0.5mcg/kg/min IV infusion
특징: 강력한 혈관 수축 작용 → 혈압 상승
주의사항: 중심정맥 투여 권장, 말초정맥 사용 시 조직 괴사 위험


❓ Q5. 아나필락시스 환자에게 사용하는 약물은?

💡 에피네프린 IM
용량: 0.3~0.5mg IM (대퇴부 전외측)
효과: 기관지 확장, 혈압 상승, 알레르기 반응 억제


❓ Q6. 경련 환자에게 사용하는 약물은?

💡 디아제팜(Diazepam) 또는 로라제팜(Lorazepam)
용량: 디아제팜 5~10mg IV / 로라제팜 4mg IV (2분 이상 천천히 투여)
주의사항: 호흡 억제, 저혈압 가능 → 투여 후 모니터링


❓ Q7. 저혈당 환자에게는 어떻게 투약하나요?

💡 의식 여부에 따라 투약 방법이 달라집니다.
- 의식 있음 → 포도당 액상 경구 투여
- 의식 없음 → 50% 포도당 20~50mL IV bolus
- 투여 후 15분마다 혈당 재측정


❓ Q8. 기관지 경련 환자에서 사용하는 약물은?

💡 살부타몰(Salbutamol) 네뷸라이저
용량: 2.5mg/3mL 생리식염수 희석 후 흡입
효과: 기관지 확장, 호흡곤란 완화


❓ Q9. 심한 고칼륨혈증 환자에게 사용하는 응급약물은?

💡 칼슘 글루코네이트(Calcium Gluconate)
용량: 10% 10mL IV 천천히 투여
효과: 심근 안정화


❓ Q10. 응급상황에서 약물 투여 시 가장 중요한 원칙은?

💡 5 Rights 원칙
- Right Patient
- Right Drug
- Right Dose
- Right Route
- Right Time


3️⃣ 실시간 간호 기록 예시 (FDAR 형식)

🕐 13:32  
F: 환자 갑작스러운 의식 소실, 무호흡 상태 확인. 모니터상 VF 리듬 관찰됨.  
D: 심정지(VF)로 판단. 코드블루 호출 후 의료진 집결.  
A: 심폐소생술 즉시 시작(CPR – 가슴압박 30회, 인공호흡 2회).  
   에피네프린 1mg IV bolus 투여. 제세동 200J 1회 시행.  
🕐 13:36  
A: VF 지속, CPR 진행. 아미오다론 300mg IV bolus 투여.  
🕐 13:38  
R: ROSC 확인, NSR 전환. 활력징후 안정. 산소 5L 공급하며 모니터링.

4️⃣ 응급카트 약물별 정리 및 투여 팁

약물명 사용 상황 투여 팁
1층 에피네프린 심정지, 아나필락시스 1mg IV bolus, 3~5분마다 반복
1층 아트로핀 서맥 0.5mg IV every 3~5분, 최대 3mg
1층 아미오다론 VF/VT 초회 300mg IV bolus
2층 노르에피네프린 쇼크, 저혈압 0.05~0.5mcg/kg/min IV infusion
3층 디아제팜 경련 5~10mg IV, 호흡 억제 주의
3층 살부타몰 기관지 경련 2.5mg/3mL 네뷸라이저
3층 칼슘 글루코네이트 고칼륨혈증 10% 10mL IV 천천히

***병동 사정에 따라 위치.약물구성이 다를수 있음.


5️⃣ 마무리

응급상황에서의 약물 투여는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Double Check(이중 확인)을 철저히 시행하고, 응급카트 약물 위치와 용량, 부작용을 숙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