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응급약물 완전정복 시리즈

고혈압성 위기 & 뇌출혈 의심 시 최신 응급약물 가이드

728x90
반응형

《응급약물 완전정복 시리즈》

1편 🚨 응급실 필수 약물 TOP 10 – 신규 간호사가 꼭 알아야 할 기본
2편 💉 심정지 상황에서 사용하는 응급약물 – 에피네프린부터 아미오다론까지
3편 ⚡ 쇼크 유형별 응급약물 – 저혈량, 아나필락시스, 패혈성 쇼크 대응법
4편 🫁 호흡곤란 환자 응급약물 – 기관지 확장제부터 스테로이드까지
5편 🩺 부정맥 환자 응급약물 – 아트로핀, 리도카인, 마그네슘 황산염 정리
6편 💊 경련·발작 시 사용되는 응급약물 – 디아제팜부터 레버티라세탐까지
7편 🧠 고혈압성 위기, 뇌출혈 의심 시 응급약물 투여 가이드
8편 📦 응급카트 약물 구성 완전 해부 – 약물별 용도와 위치까지!
9편 ✅ 약물 투약 실수 방지를 위한 응급상황별 리마인드 체크리스트
10편 👩‍⚕️ 신규 간호사를 위한 응급약물 Q&A – 실무에서 자주 묻는 질문 총정리

💊 고혈압성 위기 & 뇌출혈 의심 시 응급약물 가이드 + 초기 간호 중재 및 CT 촬영 전 주의사항

 

📌 목차

  1. 들어가며
  2. 고혈압성 위기란? 분류와 치료 목표
  3. 응급상황에서 사용하는 주요 약물
  4. 뇌출혈 환자의 초기 간호 중재
  5. CT 촬영 전 준비와 주의사항
  6. 혈압 조절 실무 팁
  7. 정리 및 마무리

1️⃣ 들어가며

고혈압성 위기(Hypertensive Crisis)는 갑작스럽게 수축기 18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120mmHg 이상으로 상승하는 응급상황입니다. 특히 뇌출혈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혈압을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하면 출혈 확장과 사망률 상승의 위험이 큽니다. 하지만 혈압을 너무 빠르게 낮추면 뇌혈류가 감소하여 허혈성 손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 글은 신규 간호사도 이해하기 쉽게 뇌출혈 의심 환자에서 사용하는 응급약물, 초기 간호 중재, CT 촬영 전 주의사항, 혈압 조절 팁을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2️⃣ 고혈압성 위기란? 분류와 치료 목표

구분 특징 예시
응급 (Emergency) 혈압 상승 + 장기 손상 동반 뇌출혈, 뇌경색, 대동맥 박리, 급성 폐부종
긴급 (Urgency) 혈압 상승 + 장기 손상 없음 두통, 불안, 경한 시야 흐림

 

뇌출혈이 의심되면 반드시 응급 상황으로 간주합니다.
목표: 초기 1시간 내 수축기 혈압(SBP)을 140mmHg 이하로 점진적으로 감소.

뇌출혈이 의심되면 반드시 응급 상황으로 간주 합니다.


 

3️⃣ 응급상황에서 사용하는 주요 약물

약물명 분류 용량 및 특징 주의사항
니카르디핀 CCB (정맥) 5mg/h 시작 → 2.5mg/h씩 증량 (최대 15mg/h) 반사성 빈맥, 저혈압 주의
라베타롤(라베신) α+β 차단제 10~20mg IV bolus, 10분 간격 반복 (최대 300mg) 천식, 서맥 환자 주의
클레비프렉스 초단기 CCB 1~2mg/h 시작 → 90초 간격 증량 지방 유제 → 알러지, 고지혈증 주의
Widaplik ARB+CCB+Thiazide 경구용 3제 복합제, 초기 치료·장기 조절용 저혈압, 부종, 알러지 주의
Tryvio 엔도텔린 억제제 내성 고혈압에 기존 약물과 병용 간독성, 부종, 빈혈 가능

 

4️⃣ 뇌출혈 환자의 초기 간호 중재

  • 🩺 **의식 수준(GCS)과 신경학적 변화** 신속히 확인
  • 📈 **활력징후 측정:** 혈압, 맥박, 호흡, SpO₂
  • 💉 **정맥로 확보:** 18~20G IV line 2개 이상
  • 💨 **산소 공급:** SpO₂ 94% 이상 유지
  • 🛏 **머리 30° 상승:** 뇌압 상승 예방, 환자 안정화
  •  


 

5️⃣ CT 촬영 전 준비와 주의사항

  • ✅ 환자 신원, 촬영 부위, 촬영 목적 확인
  • ✅ 틀니, 보청기, 금속 장신구 제거
  • ✅ IV line 안정성 확인, 활력징후 측정
  • ✅ 경련 위험 시 산소, 흡인기, 응급약물 준비
  • ✅ 조영제 사용 시 알레르기, 신장 기능 확인


 

6️⃣ 혈압 조절 실무 팁

  • 목표 혈압: SBP ≤ 140mmHg로 점진적으로 낮춤
  • 니카르디핀, 라베타롤, 클레비프렉스를 상황에 맞게 사용
  • 혈압은 5~10분 간격으로 반복 측정
  • 저혈압, 서맥, 부종 등 부작용 즉시 확인 및 보고
  • 투여 시간, 용량, 환자 반응을 정확히 기록

 

7️⃣ 정리 및 마무리

뇌출혈 의심 환자는 초기 대응 속도가 생존율과 직결됩니다. 신속한 환자 사정, 올바른 약물 선택, 정확한 혈압 조절, CT 촬영 전 안전 확인이 중요합니다. 신규 간호사는 이 과정을 **체계적으로 순서대로 진행**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다음 글에서는 뇌출혈 환자의 CT 결과에 따른 간호 중재와 재활 초기 접근법을 다루겠습니다.

 


🧠 상황 예시 – 뇌출혈 의심 환자 응급 대응 시뮬레이션


📍 상황

병동에 입원 중인 75세 남성 환자, 기저질환으로 고혈압과 당뇨를 앓고 있음.
오전 10시경 보호자가 환자가 갑자기 심한 두통을 호소하며 구토 후 의식이 떨어졌다고 간호사실에 알림.


상황 인지

  • 간호사가 즉시 병실로 이동
  • 환자 상태 확인: 의식 혼미(GCS 10점), 왼쪽 편마비, 혈압 220/120mmHg, 맥박 96회, 호흡 20회, SpO₂ 90%

초기 간호 중재

  • 환자 머리를 30° 상승시킴
  • 산소 10L/min 마스크 공급
  • 18G IV 라인 2개 확보, 혈당 측정
  • 응급카트와 제세동기 병실로 준비

의사 보고 (SBAR)

  • S: "OOO호실 75세 남성 환자가 의식 저하와 구토를 보이며 혈압이 220/120mmHg입니다."
  • B: "환자는 고혈압과 당뇨 병력이 있으며, 현재 뇌출혈 의심 소견입니다."
  • A: "의식 혼미, 왼쪽 편마비, SpO₂ 90%, GCS 10점입니다. 산소 공급 및 IV 라인 확보 완료했습니다."
  • R: "즉시 뇌출혈 확인 및 혈압 조절을 위한 지시 부탁드립니다."

의사 지시에 따른 약물 투여

  • 니카르디핀 5mg/h 점적 시작
  • 라베타롤 10mg IV bolus 1회 투여
  • 5분 간격으로 혈압 재측정

CT 촬영 준비

  • 환자 안정화 후 CT 촬영 요청
  • 틀니, 보청기, 금속 장신구 제거
  • CT실에 환자 상태, 활력징후, 투여 약물 보고

사후 기록

  • 경과 및 처치 내용을 간호기록지에 상세 기록
  • 보호자에게 현재 상황과 진행 절차 설명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