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족구병 걸리면 몇 일 쉬어야 할까?
등원 시기 체크! 초보 부모를 위한 실전 가이드
1. “수족구병 걸렸대요… 며칠 쉬어야 하죠?”
아이가 수족구병에 걸렸다는 진단을 받으면,
**제일 먼저 드는 고민은 ‘얼마나 쉬어야 하나요?’**예요.
인터넷에는 5일, 7일, 10일… 말이 다르고,
병원은 “다 나으면 보내세요”라고만 하고,
어린이집에서는 “수포 없어지고 입안 괜찮아져야요”라고 말하죠.
👩👦👦 부모 입장에서는 정확한 기준이 필요한 순간입니다.
2. 결론부터 말하면…
구분 권장 | 쉬는 기간 | 등원 가능 시점 |
경증 (열만 있고 수포 적음) | 보통 5~7일 | 열이 없고, 식사 가능, 수포 마름 |
중등도 이상 (수포 많고 입안 궤양 심함) | 최대 10일까지 권장 | 입안 통증 사라지고, 컨디션 회복되면 |
형제자매가 어린 아기일 경우 | 감염 예방 위해 7~10일 | 완전히 회복 후 등원이 안전 |
💡 아이 상태가 좋더라도, 형제자매나 면역력이 약한 아이가 있는 경우에는
조금 더 길게 쉬는 것이 가족 전체 건강에 이로워요.
3. 수족구병 회복 단계별 등원 판단법
아래의 흐름을 참고하면, 내 아이의 등원 시기를
증상 기준으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요.
[회복 1단계]
- 열이 나는 중 (보통 1~3일)
- 입안 궤양이 심하고 침을 많이 흘려요
- 손발에 수포가 잡히기 시작함
→ 이 시기는 전염력이 가장 높은 시기이므로 무조건 격리!
[회복 2단계]
- 열은 떨어졌지만, 수포와 궤양이 남아 있음
- 아이가 밥을 안 먹고, 기운도 없어함
- 밤잠 설치거나 많이 칭얼거림
→ 전염력이 남아 있으며 등원은 금물!
이때 무리하게 등원시키면 다른 아이들에게 옮길 수 있어요.
[회복 3단계]
- 손발 수포가 딱딱하게 마르거나 딱지가 앉음
- 입안 궤양도 거의 아물고, 아이가 밥을 먹기 시작함
- 열도 없고 활발하게 움직임
→ 이 시점부터 등원 고려 가능!
단, 아이가 정상 식사를 할 수 있을 정도로 회복되어야 해요.
4. 어린이집·유치원 지침은 어떤가요?
질병관리청 지침상 수족구병은
“등원 금지 감염병은 아니나, 전염력이 강해 격리를 권고”
되어 있습니다.
📍 실무 기준
항목 | 어린이집/유치원 권장 대응 |
발열 + 수포 있는 상태 | 등원 금지 (최소 5~7일) |
수포는 있지만 열은 없음 | 통증 여부, 식사 가능 여부로 판단 |
회복 후 완치된 경우 | 등원 가능, 경우에 따라 의사 소견서 요청 |
일부 유치원은 회복 후에도 ‘전염 끝났는지 확인서’를 요청하기도 하니
보건교사 또는 원장님께 미리 문의해보세요.
5. 등원 가능 체크리스트
등원 전 아래 항목을 꼭 확인하세요.
항목 | 확인 여부 |
체온이 37.5도 이하로 정상인가요? | ✅ / ❌ |
손발 수포가 마르고 진물이 없는 상태인가요? | ✅ / ❌ |
입안이 아프지 않고 밥을 잘 먹나요? | ✅ / ❌ |
아이가 무기력하지 않고 활동하나요? | ✅ / ❌ |
기침, 콧물 등 감기 증상도 없나요? | ✅ / ❌ |
✅ 모두 '예'일 경우 → 등원 가능
❌ 하나라도 '아니오'일 경우 → 하루 더 지켜보는 게 좋아요
6. 부모가 주의해야 할 점
- 동생, 가족 전염 예방
수족구병은 완치되어도 대변에 바이러스가 최대 4주까지 남아 있을 수 있어요.
기저귀 갈이 후에는 꼭 손을 비누로 꼼꼼히 씻어주세요. - 집에서 완치 후에도 1~2일은 쉬게 해주는 게 좋아요
회복 초기 등원은 피로 누적과 재감염 가능성도 있어요.
면역이 완전히 회복된 뒤 등원하는 게 가장 안전합니다.
7. 자주 묻는 질문 (Q&A)
Q. 수포가 다 말랐는데 입 안이 아직 헐어 있어요. 등원해도 되나요?
👉 아니요. 아이가 식사할 때 아파하면 컨디션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거예요.
입 안 상처가 회복되어 우유, 밥, 간식을 잘 먹을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리세요.
Q. 등원 전에 소견서가 꼭 필요한가요?
👉 의료법상 의무는 아니지만,
어린이집·유치원의 자체 방침에 따라 요청할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 “완치되었습니다”라는 간단한 소견서를 요청하면 대부분 발급해줘요.
8. 정리
질문 요약 | 답변 |
수족구병 걸리면 며칠 쉬나요? | 보통 5~7일, 심하면 최대 10일까지 |
언제부터 등원해도 괜찮을까요? | 열 없음 + 수포 마름 + 밥 잘 먹으면 가능 |
회복 후 등원 시 주의할 점은? | 전염력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위생관리 철저히 |
소견서가 필요한가요? | 원에 따라 다르므로 미리 확인 필요 |
'연령·성별 맞춤 건강관리 > 소아청소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궁경부암 예방, 가다실 꼭 맞아야 하나요?” (10) | 2025.04.17 |
---|---|
소아 심장질환의 원인, 가와사키병 완전정복: 진단에서 치료까지 (14) | 2025.04.16 |
수족구병 유행?증상·치료·예방 총정리 (14) | 2025.04.15 |
초보 엄마를 위한 아기 해열제 복용법 가이드 (68) | 2025.04.13 |
“아기 열 날 때 대처법 총정리” (25)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