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령·성별 맞춤 건강관리/소아청소년

수족구병 유행?증상·치료·예방 총정리

반응형

 

🦠 수족구병 유행? 증상·치료·예방 총정리


1. “아이가 열이 나고 밥도 안 먹어요”

어느 날 아이가 갑자기 짜증을 많이 내고, 열이 나고, 밥을 거부합니다.
입을 살펴보면 혓바닥에 작은 궤양이 생겼고, 손과 발엔 작은 물집이 잡히기 시작했죠.

이런 경우, **대부분 소아과에서는 ‘수족구병일 가능성이 높아요’**라고 진단합니다.

2025년에도 수족구병 유행 시기가 되면
어린이집, 유치원에서 한 반에 여러 명씩 동시에 앓을 수 있어요.
그래서 초보 엄마들은 수족구병의 특징, 치료, 전염 시기를 꼭 알아두어야 해요.


2. 수족구병이란?

수족구병은 콕사키바이러스 A16형, 엔테로바이러스 71형
장바이러스가 입이나 호흡기를 통해 몸에 들어와 생기는 감염병이에요.

보통 6개월부터 5세까지의 유아에게 흔하게 나타나고,
여름부터 초가을 사이에 특히 많이 유행해요.


3. 수족구병의 전염 경로

경로 종류            설명
침, 콧물 재채기, 기침을 통해 퍼져요
물집의 진물 손발 수포에 생긴 진물에서도 바이러스가 전염돼요
대변 기저귀 갈 때, 화장실 후 손 씻지 않으면 감염돼요

🙋‍♀️ 엄마 TIP:
수족구병은 완치 후에도 2~4주간 대변으로 바이러스가 나올 수 있어요.
따라서 기저귀 교체 후 손 씻기는 철저히 해줘야 해요!


4. 수족구병의 주요 증상

아이는 보통 감기처럼 시작해요.
하지만 며칠 안에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납니다:

증상 구분        상세 설명
발열 38도 3일간 지속될 수 있어요
입안 궤양 혀, 볼 안쪽, 입천장에 1~3mm 크기의 흰색 궤양이 생겨요. 먹거나 삼킬 때 아파해요.
손·발·엉덩이 수포 붉은 반점이나 수포가 손바닥, 발바닥, 엉덩이에 나타나요. 가렵거나 따가울 수 있어요.
식욕 저하 통증 때문에 밥을 거부하거나, 우유를 먹지 않아요
무기력·보채기 아이가 예민해지고 평소보다 많이 칭얼거려요

5. 언제 유행하나요?

수족구병은 주로 여름철, 특히 5월~8월 사이에 많이 발생해요.
2025년에도 5월부터 전국 유치원, 어린이집에서 유행이 시작되고 있다는
질병관리청 감시 결과가 보고되고 있어요.

1) 왜 여름에 유행할까요?

원인                          설명
고온다습한 환경 바이러스가 습하고 더운 환경에서 더 잘 퍼져요
에어컨 사용 증가 실내 공기 순환이 줄고 환기가 부족해지기 때문이에요
실내 활동 증가 더운 날씨 때문에 아이들이 실내에서만 놀게 되면, 접촉 감염 가능성이 커져요
어린이집·유치원 단체 생활 한 아이가 감염되면 반 전체로 빠르게 퍼질 수 있어요

2) 유행 시기엔 이렇게 대처하세요!

  •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에서 수족구병 확진자가 발생했다면,
    아이 상태를 매일 확인하고, 입안/손발에 수포가 생기면 바로 병원에 가세요.
  • 등원 전 체온 측정입안 확인 습관화하기.
  • 실내놀이터, 키즈카페 등 밀폐된 공간은 유행시기엔 가급적 피하기.

6.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1) 기본 치료 원칙: 대부분 7일 안에 자연 회복

수족구병은 바이러스 질환이므로
특효약이나 항생제가 없어요.
아이 몸의 면역력이 스스로 이겨내야 해요.

2) 집에서 해줄 수 있는 간호

상황  엄마가 할 수 있는 대처법
열이 날 때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 부루펜(이부프로펜) 등 해열제를 의사 지시에 따라 복용시켜요.
입이 아파서 밥을
안 먹을 때
너무 뜨겁거나 짠 음식은 피하고, 미음, 찬 죽, 요거트, 과일 퓨레처럼 부드럽고 시원한 음식 위주로 주세요.
탈수 걱정될 때 수분 섭취가 중요해요! 이온음료, 미지근한 물, 차가운 과일즙 등을 자주 조금씩 마시게 해요.
피부 수포가
많을 때
진물나는 부위는 가볍게 씻어주고, 손톱은 짧게 잘라 2차 감염을 예방해요.

3) 병원 꼭 가야 하는 경우

  • 40℃ 이상 고열이 2일 이상 계속돼요
  • 물을 전혀 마시지 못하고 소변량이 확 줄어요
  • 호흡이 빠르거나 가슴이 쿵쾅거리는 증상
  • 경련이 생기거나, 아이가 축 늘어지고 의식이 흐려져요
  • 생후 6개월 미만 아기, 심장/면역질환 있는 아이는 무조건 병원 진료가 필요해요!

7. 수족구병, 어린이집 언제 복귀해요?

발열이 사라지고 수포가 마르면 등원 가능해요.
보통은 증상 시작 후 7일 정도 쉬면 대부분 회복돼요.
하지만 어린이집에 따라 최대 10일 격리 권장하기도 해요.

✍️ 의사 진단서나 완치확인서를 요청받을 수도 있으니 미리 체크하세요!


8. 수족구병 예방법

외출 후 손 씻기 (30초 이상, 손등·손톱 사이 꼼꼼하게)

🧸 장난감, 젖병, 수건은 자주 소독

🪟 집 안은 자주 환기시키기

👩‍👧 감염 의심 시엔 등원·외출 금지

🚽 기저귀 갈고 난 뒤 손 위생 철저히!


✅ 요약 정리

구분                          핵심 내용
전염력 증상 시작 후 3~5일간 가장 전염력이 강함
회복 기간 보통 7~10일 안에 회복되며 합병증은 드물어요
격리 기간 열 없고 수포 마르면 등원 가능 (보통 1주일 후)
예방 방법 손 씻기, 장난감 소독, 기침예절 지키기 등 위생 관리 필수

📌 초보 엄마 Q&A

Q. 아이가 수족구인데 옷은 어떻게 입혀야 할까요?

👉 몸에 열이 많으면 통풍 잘 되는 얇은 옷을 입혀주세요.
땀이 차면 수포가 더 자극돼서 가려움이 심해질 수 있어요.

Q. 동생에게도 옮을 수 있나요?

👉 네! 형제가 함께 있는 경우 거의 50% 이상 전염되므로
수건, 장난감, 젖병은 따로 쓰고, 손 씻기 철저히 해야 해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