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응급약물 완전정복 시리즈》
1편 | 🚨 응급실 필수 약물 TOP 10 – 신규 간호사가 꼭 알아야 할 기본 |
2편 | 💉 심정지 상황에서 사용하는 응급약물 – 에피네프린부터 아미오다론까지 |
3편 | ⚡ 쇼크 유형별 응급약물 – 저혈량, 아나필락시스, 패혈성 쇼크 대응법 |
4편 | 🫁 호흡곤란 환자 응급약물 – 기관지 확장제부터 스테로이드까지 |
5편 | 🩺 부정맥 환자 응급약물 – 아트로핀, 리도카인, 마그네슘 황산염 정리 |
6편 | 💊 경련·발작 시 사용되는 응급약물 – 디아제팜부터 레버티라세탐까지 |
7편 | 🧠 고혈압성 위기, 뇌출혈 의심 시 응급약물 투여 가이드 |
8편 | 📦 응급카트 약물 구성 완전 해부 – 약물별 용도와 위치까지! |
9편 | ✅ 약물 투약 실수 방지를 위한 응급상황별 리마인드 체크리스트 |
10편 | 👩⚕️ 신규 간호사를 위한 응급약물 Q&A – 실무에서 자주 묻는 질문 총정리 |
💉 심정지 상황에서 사용하는 응급약
⚡ 쇼크 유형별 응급약물 – 저혈량, 아나필락시스, 패혈성 쇼크 대응법
1️⃣ 왜 이 글이 필요한가?
쇼크는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중요한 장기에 혈류가 공급되지 않는 응급상태입니다.
발생 원인에 따라 저혈량성 쇼크, 아나필락시스 쇼크, 패혈성 쇼크로 구분되며,
각 쇼크별로 사용하는 응급약물과 치료 전략이 다릅니다.
특히 초기 대응이 늦으면 사망률이 급격히 높아지므로,
간호사와 의료진은 원인별 응급약물 투여 원칙을 정확히 숙지해야 합니다.
2️⃣ 쇼크의 주요 유형과 특징
💧 저혈량성 쇼크
- 원인: 출혈, 탈수, 화상 등 체액 손실
- 특징: 저혈압, 빠른 맥박, 피부 창백
🫁 아나필락시스 쇼크
- 원인: 약물, 음식, 벌독에 대한 전신 알레르기 반응
- 특징: 호흡곤란, 혈압 저하, 두드러기, 기관지 부종
🦠 패혈성 쇼크
- 원인: 심한 감염으로 인한 전신 염증반응
- 특징: 발열 또는 저체온, 빠른 맥박, 저혈압, 의식 변화
3️⃣ 쇼크 유형별 응급약물
💧 1) 저혈량성 쇼크
- 1차 치료: 수액 공급 (크리스탈로이드, 필요 시 혈액제제)
- 약물:
- 도파민(Dopamine) → 심박출량 증가
-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 혈압 유지
- 혈액제제(적혈구, 혈장) → 출혈 시 보충
🫁 2) 아나필락시스 쇼크
- 1차 치료: 에피네프린(Epinephrine) IM 투여
- 약물:
- 에피네프린 0.3~0.5mg IM
- 항히스타민제(클로르페니라민, 디펜히드라민)
- 스테로이드(덱사메타손, 메틸프레드니솔론)
- 기관지 확장제(살부타몰 네불라이저)
🦠 3) 패혈성 쇼크
- 1차 치료: 광범위 항생제 + 충분한 수액 공급
- 약물:
- 노르에피네프린 → 1차 혈압 상승제
- 도파민, 바소프레신 → 보조 혈관수축제
- 항생제 → 원인균에 맞춰 투여
4️⃣ 간호사의 실무 포인트
✅ ABCs(기도·호흡·순환) 우선 확인
✅ 정맥로 확보 → 산소 공급 → 활력징후 모니터링
✅ 약물 투여 후 효과와 부작용을 반드시 관찰
✅ 원인 질환(출혈·감염·알레르기) 치료와 병행
5️⃣ 실제 상황에서의 단계별 대응
1️⃣ 저혈량성 쇼크: 수액 + 혈액제제 → 필요 시 도파민/노르에피네프린
2️⃣ 아나필락시스 쇼크: 에피네프린 IM → 산소 공급 →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추가
3️⃣ 패혈성 쇼크: 항생제 + 수액 공급 → 노르에피네프린 중심정맥관 투여
⚠️ 모든 쇼크는 원인 제거와 적절한 약물 투여가 병행돼야 생존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에피네프린(Epinephrine)과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정리
구분 | 에피네프린(Epinephrine) |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
작용 수용체 | α1, α2, β1, β2 모두 강하게 작용 | α1 강력, β1 약간 |
혈압 변화 | 혈관수축 + 심박수 증가 → 혈압 상승 | 강력한 혈관수축 → 혈압 상승 (심박수 변화 적음) |
심장 영향 | 심박수·심근 수축력 증가 | 심근 수축력 약간 증가, 심박수 변화 거의 없음 |
기관지 작용 | 기관지 확장 효과 ↑ | 기관지 확장 효과 거의 없음 |
주요 사용 상황 | 심정지, 아나필락시스, 기관지 경련 | 패혈성 쇼크, 저혈압 쇼크 |
투여 경로 | IV bolus, IM, SC | 중심정맥관을 통한 지속 주입(Continuous infusion) |
✅ 정리
- 에피네프린: 전신적 교감신경 활성화 → 심정지, 아나필락시스, 기관지 확장 필요 시 사용
- 노르에피네프린: 혈관 수축에 특화 → 패혈성 쇼크, 저혈압 쇼크에서 혈압 유지
👉 따라서 쇼크 상황에서 환자의 상태와 쇼크의 원인에 따라 두 약물을 구분해 사용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응급약물 완전정복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정맥 환자 응급약물 – 아트로핀, 리도카인, 마그네슘 황산염 및 추가 약물 정리 (6) | 2025.07.31 |
---|---|
호흡곤란 환자 응급약물 – 기관지 확장제부터 스테로이드까지 (1) | 2025.07.31 |
심정지 상황에서 사용하는 응급약물 – 에피네프린부터 아미오다론까지 (5) | 2025.07.31 |
응급실 필수 약물 TOP 10 – 신규 간호사가 꼭 알아야 할 기본 (9) | 2025.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