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이란 무엇인가?
백내장(白內障, Cataract)은 눈 속의 수정체가 뿌옇게 혼탁해지면서 시력이 점차 저하되는 질환입니다. 수정체는 원래 투명해 빛을 망막에 정확히 전달해야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단백질이 변성되어 점차 뿌옇게 변합니다.
특히 노화성 백내장은 60세 이상에서 흔히 발생하며, 외상, 당뇨병, 약물(스테로이드 장기 복용), 자외선 노출도 발병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백내장의 초기 증상 4가지
1. 시야가 흐릿해진다
백내장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시야가 뿌옇게 보이는 것입니다. 마치 안경이나 렌즈에 김이 서린 듯 선명도가 떨어지고, 글자를 읽을 때 흐릿하게 보입니다. 초기에는 한쪽 눈만 불편하거나 밝은 곳에서 더 심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2. 빛 번짐·눈부심(Glare 현상)
백내장이 생기면 빛이 수정체에서 고르게 굴절되지 못해 빛이 번져 보이거나 눈부심이 심해집니다.
- 낮: 햇빛 아래에서 눈이 쉽게 피로해짐
- 밤: 자동차 전조등, 가로등이 퍼져 보이며 운전이 불편
→ 특히 야간 운전이 어려워지는 것이 대표적인 초기 신호입니다.
3. 색이 탁하고 변해 보인다
백내장 환자들은 “세상이 누렇게 보인다”거나 “색감이 탁하다”고 표현합니다. 이는 수정체가 혼탁해지면서 빛의 파장이 왜곡되기 때문입니다. 원래의 선명한 색감이 줄어들고, 노란색 또는 갈색 필터가 낀 듯 보이기도 합니다.
4. 근거리 시력 변화
일부 환자는 갑자기 돋보기를 쓰지 않아도 가까운 글자가 잘 보이는 경험을 합니다. 이를 **‘두 번째 시력(Second sight)’**이라고 부르는데, 백내장 초기에는 수정체 변화로 인해 근거리가 일시적으로 잘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일 뿐, 시간이 지나면 오히려 전반적인 시력이 저하됩니다.
백내장과 혼동하기 쉬운 질환
- 노안: 가까운 것이 잘 안 보이지만, 백내장은 먼 곳과 가까운 곳 모두 흐려짐
- 녹내장: 시신경이 손상되어 시야 결손이 발생 → 백내장과 달리 시야 일부가 사라짐
- 황반변성: 시야 중심이 흐리거나 왜곡 → 백내장과 구분 필요
따라서 단순히 “눈이 잘 안 보인다”는 이유만으로는 백내장인지 알기 어렵고, 반드시 안과 검진이 필요합니다.
조기 발견과 치료의 중요성
백내장은 초기에는 안경 도수 조절이나 생활습관 관리로 지낼 수 있지만, 진행되면 결국 수술이 필요합니다. 다행히 백내장 수술은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술 중 하나로, 혼탁해진 수정체를 제거하고 인공 수정체(IOL)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 조기 발견의 장점
- 시력 저하로 인한 낙상, 교통사고 예방
- 진행이 심하기 전 수술하면 합병증이 적고 회복이 빠름
- 다른 안과 질환(녹내장, 황반변성) 조기 발견 가능
생활 관리와 예방법
- 자외선 차단을 위해 선글라스 착용
-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과일·채소 섭취(비타민 C, E)
- 당뇨, 고혈압 등 만성질환 철저히 관리
- 정기적인 안과 검진: 40세 이후 1~2년에 한 번, 60세 이후 매년 권장
마무리
백내장은 서서히 진행되어 초기에 자각하기 어려운 질환입니다.
흐릿한 시야, 빛 번짐, 색감 변화, 근거리 시력 변화가 나타난다면 단순 노안으로 여기지 말고 안과에서 정밀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조기 발견은 치료 효과와 삶의 질을 크게 좌우합니다.
👉 “ 시야가 뿌옇게 보인다면, 그것은 단순 노안이 아니라 백내장의 시작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