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령·성별 맞춤 건강관리/소아청소년

고열과 목통증, 혹시 뇌수막염일까요?

반응형

 


🧠 고열과 목통증, 혹시 뇌수막염일까요?

👉 감기처럼 시작되는 뇌수막염 초기 증상 총정리


 “감기인 줄 알았는데… 아이가 자꾸 축 늘어지고 눈도 잘 안 마주쳐요.”

아이에게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프다고 하면 처음엔 “감기인가 보다” 생각하실 거예요.
하지만 간혹 단순 감기가 아니라 ‘뇌수막염’의 시작일 수도 있습니다.

**뇌수막염(Meningitis)**은 뇌를 감싸는 보호막(수막)에 염증이 생기는 병으로,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에 의해 생기며, 초기에 잘 알아차리는 것이 중요해요.


1. 뇌수막염, 어떤 증상으로 시작되나요?

초기엔 일반 감기와 비슷해 보이기 때문에 놓치기 쉬워요.
하지만 다음과 같은 이상 징후가 함께 보인다면 꼭 의심해봐야 합니다.


🔍 뇌수막염 의심 증상 체크리스트

증상 항목           설명
🔥 고열 38.5℃ 이상 열이 갑자기 오르며 잘 떨어지지 않음
😖 두통 아이가 “머리가 아파요” 하거나 눈썹 사이를 찡그림
🧍‍♀️ 목통증/목강직 목이 뻣뻣해서 눕거나 돌리기 어려워함
💤 기면 졸려 하거나 축 늘어짐, 깨워도 반응이 둔함
🍼 식욕 저하 젖병을 거부하거나 밥을 거의 안 먹으려 함
💫 혼란/이상 행동 멍하게 있거나 눈이 흐릿하고 무표정
🤮 구토 음식을 먹지 않아도 토하거나 울렁거림
😵 경련 손발을 떠는 듯한 움직임, 눈이 돌아감
👀 빛에 예민함 밝은 빛을 싫어하고 눈을 자주 감음

⚠️ 위 증상 중 2가지 이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내원하세요!


2. 아이 연령별 주의할 점

  • 영유아(24개월 미만):
    말을 못 하기 때문에 표정, 울음, 먹는 양을 잘 살펴야 해요.
    • 이상한 울음소리 (고음),
    • 계속 자려 함,
    • 눈 안 마주침,
    • 손발이 차가움 등이 경고 신호일 수 있어요.
  • 학령기 아동 이상:
    고열 + 두통 + 멍함 + 목이 아프다고 하면 꼭 뇌수막염을 의심해요.

3. 어떻게 검사하나요?

병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검사를 통해 뇌수막염 여부를 확인해요.

  1. 혈액검사 – 염증 수치와 감염 정도 확인
  2. 뇌척수액 검사 – 허리에서 채취한 액체를 검사해 진짜 뇌수막염인지 확인
  3. PCR, 바이러스 검사 – 원인이 세균인지 바이러스인지 감별
  4. CT 또는 MRI – 중증인 경우 뇌 손상 여부 확인

4.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 세균성 뇌수막염즉시 항생제를 정맥주사로 투여해야 해요. 치료가 늦으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은 대부분 스스로 회복되며, 해열제와 수액 등 대증 치료만으로 호전돼요.
  • 단, 단순포진 바이러스(HSV)가 원인일 경우 항바이러스제 투여가 필요합니다.

5. 예방할 수 있나요?

✅ 네! 아래 백신 접종으로 세균성 뇌수막염 대부분을 예방할 수 있어요.

백신 이름 예방 질환
폐렴구균 백신 (PCV13) 폐렴구균 뇌수막염
Hib 백신 Hib균 뇌수막염
수막구균 백신 수막구균성 뇌수막염

예방접종 일정을 꼭 확인하고, 빠짐없이 맞혀주세요!

 


 

❓ 자주 묻는 질문 Q&A

Q1. 감기랑 뇌수막염은 어떻게 달라요?

🟢 A. 감기처럼 열이 나는 건 똑같지만,
뇌수막염은 열이 훨씬 높고, 아이가 자꾸 멍하니 있거나,
머리 아프다, 토한다, 잘 못 먹는다, 눈도 잘 안 마주친다 이런 이상한 행동이 같이 보여요.

‘그냥 감기 같지 않다’ 싶은 느낌이 들면 바로 병원 가시는 게 맞아요!


Q2. 뇌수막염은 전염되나요? 옆 반 친구가 걸렸대요…

🟢 A. 걱정되시죠?
대부분의 뇌수막염은 전염력이 거의 없어요.
하지만 ‘수막구균’이라는 균이 원인인 경우는 다른 아이에게 옮길 수 있어서,
병원에서 격리 치료와 예방접종을 권장해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안내문이 온다면 잘 확인해 주세요.


Q3. 아이가 열이 나고 멍하게 있는데 병원 꼭 가야 할까요?

🟢 A. 네, 무조건 가셔야 해요!
특히 아이가

  • 40도 가까이 열이 나고,
  • 계속 자려고 하고,
  • 말도 잘 안 하고,
  • 젖병이나 밥도 거부하고,
  • 눈도 잘 안 마주친다

이런 증상이 함께 나타나면 바로 소아과나 응급실 가시는 게 맞습니다.


Q5. 예방접종만 잘하면 뇌수막염 안 걸리나요?

🟢 A. 네! 예방접종은 가장 좋은 예방법이에요.

  • 폐렴구균 백신
  • Hib 백신
  • 수막구균 백신
    이 세 가지가 세균성 뇌수막염을 막아주는 핵심 백신이에요.

정해진 시기에 맞춰 잘 접종만 해도 대부분의 위험을 줄일 수 있어요!


Q6. 예전에 뇌수막염 걸렸던 아이, 괜찮아질 수 있나요?

🟢 A. 대부분의 아이들은 정상적으로 회복하고 잘 자라요.
그래도 한동안은

  • 청력 검사,
  • 발달 검사,
  • 소아과 정기 진료
    를 꾸준히 받으면서 체크해 주면 안심하실 수 있어요.

Q7. 집에서는 어떻게 돌보면 좋을까요?

🟢 A.

  • 열이 나면 해열제 챙겨주시고,
  • 수분 보충을 위해 물이나 이온음료 조금씩 자주 먹이기,
  • 아이가 원하면 편하게 누워서 쉬게 하기,
  • 이상한 행동이나 경련, 멍함이 보이면 바로 병원으로 가세요!

✅ 엄마 한마디 정리

“우리 아이 열 나고 축 늘어져 있으면 무조건 감기라고 넘기지 마세요.
조금이라도 이상하다 싶으면 소아과에 가서 체크받는 게 가장 안전한 방법이에요.
초기에 확인만 잘해도, 뇌수막염은 충분히 회복할 수 있는 병이에요.”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