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재가급여란?
재가급여는 요양원 대신 본인의 집에서 요양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요양보호사, 간호사, 재활치료사가 방문하여 식사, 목욕, 건강관리, 재활운동, 정서 지원 등을 제공합니다.
가족이 직접 돌보는 경우 받을 수 있는 혜택
- 가족 요양비 지원 (일부 조건 충족 시 월 16만 원 지급)
 - 방문 요양 서비스 (전문 요양보호사가 가정을 방문하여 돌봄 지원)
 - 방문 간호 서비스 (간호사가 방문하여 건강관리 및 투약 지도)
 - 방문 목욕 서비스 (목욕이 어려운 노인을 위한 지원)
 - 복지용구 지원 (휠체어, 지팡이, 욕창 예방 매트리스 등 제공)
 
2025년 재가급여 등급별 이용 월한도액(복지용구제외)
| 재가급여 등급별 이용 월 한도액 (복지용구제외) | ||||||
| 구분 | 1등급 | 2등급 | 3등급 | 4등급 | 5등급 | 인지등급 | 
| 월 한도액 | 2,306,400 | 2,083,400 | 1,485,700 | 1,370,600 | 1,177,000 | 657,400 | 
| * 방문,목욕,간호,주야간,단기보호 총 급여비용 합산하여 등급별 월 한도액 적용 * 요양,간호,주야간 : 야간, 일요일, 공휴일 급여비용의 20%~50% 가산 적용 * 본인부담금 = 총급여비용 X 수급자유형  | 
본인부담율 | 일반 대상자  | 
40%감경 | 60%감경 | 기초 | |||||
| 시설급여 | 20% | 12% | 8% | 0% | ||||||
| 재가급여 | 15% | 9% | 6% | 0% | ||||||
| 방문요양 급여비용 (방문당) | ||||||||
| 구분 | 30분 이상  | 
60분 이상  | 
90분 이상  | 
120분이상 | 150분이상 | 180분 이상  | 
210분 이상  | 
240분 이상  | 
| 급여비용 | 16,940 | 24,580 | 33,120 | 42,160 | 49,160 | 55,350 | 61,670 | 68,030 | 
| 15% 본부금 | 2,540 | 3,680 | 4,960 | 6,320 | 7,370 | 8,300 | 9,250 | 10,200 | 
| 9% 본부금 | 1,520 | 2,210 | 2,980 | 3,790 | 4,420 | 4,980 | 5,550 | 6,120 | 
| 6% 본부금 | 1,010 | 1,470 | 1,980 | 2,520 | 2,940 | 3,320 | 3,700 | 4,080 | 
| 방문목욕 급여비용 (방문당) | |||
| 구분 | 차량(차량) | 차량(가정) | 차량 미이용 | 
| 급여비용 | 86,480 | 77,970 | 48,690 | 
| 15% 본부금 | 12,970 | 11,690 | 7,300 | 
| 9% 본부금 | 7,780 | 7,010 | 4,380 | 
| 6% 본부금 | 5,180 | 4,670 | 2,920 | 
| 방문간호 급여비용 (방문당) | 의사소견서 | 의료기관 | 보건소/지소 | |||
| 구분 | 15~30분↓ | 30~60분↓ | 60분이상 | 의사소견서 | 61,040 | 58,970 | 
| 급여비용 | 41,710 | 52,310 | 62,930 | 치매진단 | 29,220 | 26,510 | 
| 15% 본부금 | 6,250 | 7,840 | 9,430 | 방문간호지시서 | 의료기관 | 보건소/지소 | 
| 9% 본부금 | 3,750 | 4,700 | 5,660 | 의료기관방문 | 22,680 | 6,090 | 
| 6% 본부금 | 2,500 | 3,130 | 3,770 | 가정방문 | 70,030 | 13,140 | 
재가급여 신청 절차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하기)
"집에서 어르신을 돌봐드리고 싶은데, 어떻게 시작해야 하나요?"
고령 부모님을 모시는 많은 가족들이 이 같은 고민을 하게 됩니다.
이럴 때 꼭 알아야 할 것이 바로 **‘재가급여’**입니다.
오늘은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재가급여 신청 방법과
꼭 챙겨야 할 서류, 꿀팁 정보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신청 자격은?
- 만 65세 이상 어르신
 - 장기요양등급(1~5등급) 또는 인지지원등급 판정을 받은 경우
 - 병원 입원 없이 집에서 돌봄이 필요한 분
 
재가급여 신청 절차 (Step by Step)
| 단계 | 내용 | 
| ① | 장기요양인정 신청 국민건강보험공단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 
| ② | 장기요양등급 판정 공단 직원의 방문조사 후 등급 결정  | 
| ③ | 재가급여 이용 신청 등급 판정 후 요양기관 선택 및 계약  | 
| ④ | 서비스 이용 시작 방문요양, 방문간호, 방문목욕 등 이용 가능  | 
준비해야 할 서류
- 장기요양인정 신청서 (공단 홈페이지 다운로드)
 - 의사소견서 (병원에서 발급받기)
 - 주민등록등본 (가족 관계 확인용)
 - 건강보험증 사본
 - 소득 증빙서류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일 경우 필수)
 
가족돌봄자를 위한 재가급여 꿀팁
👪 가족 요양비 지원
→ 1~2등급 대상, 가족이 직접 돌보는 경우 월 16만 원 지급
🛏 복지용구 100% 활용하기
→ 휠체어, 보행기, 욕창예방 매트 등 연 160만 원 한도 지원
💸 본인 부담금 줄이기
→ 일반 15% / 차상위 7.5% / 기초생활수급자 0%
🔍 방문요양센터 꼼꼼히 비교하기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요양기관 평가 점수 확인 가능
핵심 요약
- 재가급여는 집에서 돌봄을 받는 어르신을 위한 제도입니다.
 - 가족 요양비, 복지용구, 방문서비스 등 다양한 혜택이 있습니다.
 - 본인부담금 경감 제도도 꼭 확인해보세요.
 - 신청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가능하며, 서류만 잘 준비하면 빠르게 진행됩니다.
 

728x90
    
    
  반응형
    
    
    
  '건강 이슈 & 최신의학 트렌드 > 건강.간호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요양보호사와 방문간호사,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 (7) | 2025.04.08 | 
|---|---|
| 방문간호사, 매력적인 직업인가요? (15) | 2025.04.08 | 
| 방문간호 vs 요양병원, 어떤 선택이 더 나을까? (5) | 2025.04.08 | 
| 5등급 재가 요양 혜택, 본인 부담금 및 신청 방법과 사례 (2) | 2025.04.08 | 
| 1. 인지 장애(치매)DAR간호기록 예시 (5)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