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R 간호기록 예시 – 치매 망상 환자
D (Data)
환자, “간호사가 내 물건을 훔쳐갔다”라고 반복적으로 주장하며 큰소리로 항의함. 얼굴 붉어지고, 불안정한 태도 보임. 주변 환경에 과도하게 민감한 반응.
A (Action)
차분한 목소리로 사실과 다름을 설명하고 안심시킴. 익숙한 물건 보여주며 현실 지지 제공. 안정된 병실 환경 유지. 보호자와 협의하여 자주 사용하는 물건 확인 및 병실에 비치함.
R (Response)
환자 안색 안정되며, 한동안 조용히 휴식 취함. 망상 반복 빈도 감소함. 이후 같은 주장 보이지 않음.
📝 DAR 간호기록 예시 – 치매 환자 (환각 증상)
D (Data)
환자, “저기 벽에 사람이 있어. 날 보고 있어.”라고 말하며 허공을 응시하고 두려운 표정 지음. 주변에 실제 사람 없음. 혼란스러운 말투, 불안한 안절부절못함 관찰됨.
A (Action)
침착하고 부드러운 목소리로 환자의 감정에 공감하며 안심 유도. 주변 환경 점검하여 자극 요인 제거. 조명 조절 및 병실 정돈. 보호자 및 의료진에 상황 공유.
R (Response)
환자 점차 안정을 되찾고, “그 사람이 사라졌어.”라고 말하며 평온한 표정 유지. 이후 환각 언급 없이 식사함.
물론입니다! 아래는 치매 환자의 초조 및 공격성 행동에 대한 DAR 기법 간호기록 예시를 간결하게 정리한 내용입니다:
📝 DAR 간호기록 예시 – 치매 환자 (초조/공격성)
1. 초조 행동
D (Data)
환자, 병실 내를 반복적으로 서성이고, 손을 계속 비비며 “집에 가야 해”라고 반복함. 안절부절못하고 말수가 많아짐.
A (Action)
안정된 말투로 반복적인 현실 지지 제공. 손잡고 앉도록 유도 후 간단한 회상요법 시행. 조용한 공간에서 좋아하는 음악 제공.
R (Response)
환자 눈 마주치며 경청 시 점차 안정된 모습 보임. 이후 의자에 앉아 조용히 머무름.
2. 공격성 행동
D (Data)
식사 중 옆 침상 환자에게 “왜 쳐다보냐”며 소리 지르고 식판을 밀침. 얼굴 붉고 손에 힘주며 위협적인 행동 보임.
A (Action)
신속히 안전거리 확보 후 침착하게 대화 시도. 자극 환경 제거하고 병실 밖으로 유도. 감정 표현에 공감하며 안정을 유도함. 의료진에 상황 보고.
R (Response)
환자 호흡 가라앉고 행동 차츰 진정됨. 10분 후 병실 복귀하여 보호자 언급하며 감정 표현. 추가 공격 행동 없음.
📝 DAR 간호기록 예시 – 치매 환자 (우울/낙담)
D (Data)
환자, 창밖을 바라보며 한숨 반복. “나는 쓸모없는 사람이야. 다 끝났어.”라고 말하며 눈물 보임. 식사량 감소, 대화에 소극적.
A (Action)
공감적인 태도로 감정 표현 격려. “지금도 소중한 존재세요.”라고 말하며 정서적 지지 제공. 회상요법으로 과거 긍정 경험 유도. 간단한 산책 및 음악 감상 유도.
R (Response)
환자, 눈물 닦고 “그땐 참 좋았지.”라며 미소 지음. 이후 짧은 대화 이어가며 표정 부드러워짐.
📝 DAR 간호기록 예시 – 치매 환자 (불안)
D (Data)
환자, 손을 떨며 “여기서 무슨 일이 일어날 것 같아…”라고 반복함. 눈동자 빠르게 움직이며 주변 계속 살핌. 안절부절못하고 혼잣말 중.
A (Action)
조용한 공간으로 안내 후 부드럽고 안정된 목소리로 대화 시도. 손을 잡아주며 정서적 지지 제공. 주변 자극 최소화하고 조도 조절. 심호흡 유도함.
R (Response)
환자, 손 떨림 완화되고 “조금 괜찮아졌어”라고 말함. 이후 침상에 앉아 안정된 표정 유지.
📝 DAR 간호기록 예시 – 치매 환자 (들뜬 기분 / 다행감)
D (Data)
환자, “나 오늘 큰일 할 것 같아! 기분 최고야!”라며 큰 목소리로 웃고 주변 환자에게 말을 걸며 돌아다님. 표정 과도하게 밝고, 행동 빠름. 수면 부족 상태.
A (Action)
안정된 목소리로 대화 유도하며 과도한 행동 자제시킴. 편안한 환경 제공 후 휴식 권유. TV 및 외부 자극 차단. 의료진과 상태 공유함.
R (Response)
환자, 침상에 누워 “좀 쉬어야겠다”며 표정 차분해짐. 이후 약 30분간 안정을 취하며 주변 자극에 반응 없음.
📝 DAR 간호기록 예시 – 치매 환자 (무관심 / 무감동)
D (Data)
환자, 식사 시간에도 반응 없이 누워 있음. 이름을 여러 차례 불러도 눈만 뜨고 반응 없음. 표정 변화 거의 없으며, 간단한 질문에도 대답 없이 고개만 끄덕임.
A (Action)
옆에서 부드러운 목소리로 이름 부르며 반복 자극 제공. 손잡고 눈 마주치며 간단한 질문 유도. 좋아하는 음악 틀어주고 익숙한 사진 보여주며 회상 자극 시도.
R (Response)
환자, 음악 들으며 미세한 미소 보임. 이후 사진을 바라보며 “이건 예전에…”이라고 짧게 말함. 제한적이나마 반응 나타남.
📝 DAR 간호기록 예시 – 치매 환자 (탈억제 행동)
D (Data)
환자, 병동 내에서 갑자기 큰소리로 노래 부르며 다른 환자에게 신체 접촉 시도함. 복도에서 바지를 내리려는 행동 보임. 주의 주어도 인식 못함. 주변 환자들 불안한 반응.
A (Action)
즉시 환자에게 다가가 부드럽게 제지하고 병실로 유도. 신체 노출 방지하며 환자의 감정을 자극하지 않도록 침착하게 대처. 단호하되 안정적인 언어로 행동 조절 유도. 의료진 및 보호자에게 상황 보고함.
R (Response)
환자, 병실에서 조용히 앉아 휴식 취함. 이후 문제 행동 반복되지 않음. 보호자 교육 통해 개인 물품(헐렁한 옷 등) 교체 계획 논의함.
📝 DAR 간호기록 예시 – 치매 환자 (과민 / 감정기복)
D (Data)
환자, 간호사의 약 복용 권유에 “내가 왜 먹어야 해!”라며 짜증 섞인 언어로 큰소리 침. 몇 분 후 눈물 보이며 “나 왜 이렇게 됐지…”라고 말하며 혼잣말. 감정 급변 반복됨.
A (Action)
침착하고 공감적인 태도로 감정 표현 경청. 불필요한 자극 최소화하고, 조용한 병실 환경 유지. 반복적인 안정 언어 제공 및 손잡기 등 신체적 접촉으로 정서 지지. 이후 약 복용 시기 조절.
R (Response)
환자, 약 복용 동의하며 “미안해요, 너무 힘들어서 그랬어.”라고 말함. 표정 차분해지고 이후 간호사 지시에 협조적인 태도 보임.
📝 DAR 간호기록 예시 – 치매 환자 (반복행동 / 이상행동)
1. 반복행동
D (Data)
환자, 5분 간격으로 “이제 밥 먹어요?”라고 반복 질문함. 병실 문 앞에서 10회 이상 왔다 갔다 하며 복도를 계속 쳐다봄.
A (Action)
반복된 질문에 매번 같은 어조로 차분히 대답하며 안심 유도. 스케줄 안내판에 식사 시간 표시하여 시각 정보 제공. 단순한 퍼즐 제공하며 주의 전환 유도.
R (Response)
환자, 안내판을 바라보며 질문 빈도 줄어듦. 퍼즐에 집중하며 10분간 안정된 상태 유지함.
2. 이상행동
D (Data)
환자, 새벽 시간에 병실 밖으로 나가려 하며 “여기 무서워, 집에 갈래” 반복 호소. 침상 아래에 물건 숨기거나 옷장을 자주 열고 닫음.
A (Action)
감정에 공감하며 부드럽게 현실 지지 제공. 환경 점검 후 위험 물품 제거. 야간 조도 조절하여 불안감 완화. 의료진에 이상행동 보고 및 모니터링 강화.
R (Response)
환자, 옷장 정리 후 “괜찮아졌어”라고 말하며 침상에 앉음. 이후 외출 시도 없음, 안면 안정됨.
'건강 이슈 & 최신의학 트렌드 > 재가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문간호 vs 요양병원, 어떤 선택이 더 나을까? (5) | 2025.04.08 |
---|---|
5등급 재가 요양 혜택, 본인 부담금 및 신청 방법과 사례 (2) | 2025.04.08 |
욕창 관리의 최신 의료 기술과 치료법 (0) | 2025.03.22 |
욕창 예방을 위한 가족과 간병인의 역할 (0) | 2025.03.22 |
침대에 오래 누워 있는 환자를 위한 욕창 예방 운동 (1)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