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환별 건강정보/뇌신경 질환 (치매, 뇌졸중, 파킨슨병 등)

2. 인지 장애(치매)DAR간호기록 예시

반응형

 


📝 DAR 간호기록 예시 – 치매 환자 (수면 장애 / 야간행동)

1. 수면장애

D (Data)
환자, 취침 시간 이후에도 눈을 감지 않고 누운 채 뒤척임. “잠이 안 와, 뭔가 불안해”라고 반복 호소. 평소보다 낮 시간 낮잠이 길었음.

A (Action)
부드러운 말투로 감정 공감 후 안심 유도. 따뜻한 물 제공 및 조도 낮춤. 부드러운 음악 제공. 주간 낮잠 시간 기록하여 간호계획에 반영 예정.

R (Response)
환자, 음악 들으며 점차 안정을 보임. 30분 후 자연스럽게 수면에 듦.


2. 야간행동 (수면 중 배회/이상행동)

D (Data)
새벽 2시경 환자 병실 밖 복도에서 서성이는 모습 발견됨. “집에 가야 돼, 지금 차 오잖아”라고 반복 말하며 출입문 근처 배회함.

A (Action)
즉시 환자에게 다가가 손잡고 침착하게 병실로 유도. 현실 지지 제공하며 “지금은 밤이고, 병원이에요” 반복 설명. 병실 조도 조절 및 낙상 예방 위한 안전 바 조치.

R (Response)
환자, 병실 복귀 후 안정을 찾고 다시 침상에 누움. 이후 새벽 시간까지 재이탈 없이 수면 유지함.


📝 DAR 간호기록 예시 – 치매 환자 (케어 저항)

D (Data)
환자, 기저귀 교환 및 하의 갈이 유도 시 “하지 마!”, “나 괜찮아!”라고 외치며 손으로 간호사 밀침. 얼굴 찡그리며 몸 돌려 누움. 반복적 저항 행동 관찰됨.

A (Action)
환자의 불안 표현에 공감하며 부드럽게 설명함. 일정 시간 기다린 후 환자가 신뢰하는 간호인과 함께 재시도. 최대한 자율적인 동작 유도하고 노출 최소화함. 병실 커튼 닫고 외부 자극 차단.

R (Response)
환자, 간호사의 설명에 고개 끄덕이며 서서히 협조적 태도 보임. 이후 기저귀 교환 및 의복 정리 완료, 큰 불편감 없이 종료됨.


🛁  목욕 케어 저항

D (Data)
환자, 목욕 전 탈의 유도 시 “하지 마!”, “왜 이래!”라고 외치며 손을 휘두름. 고함 지르며 탈의 거부. 표정 불안정하고 몸 떨림 있음.

A (Action)
목욕 목적을 반복 설명하며 안심 유도. 따뜻한 수건으로 손·얼굴 닦기부터 시작하여 단계적 접근. 익숙한 간호사와 함께 목욕 시도하며 노출 최소화.

R (Response)
환자 점차 안정을 보이며 세면·부분 목욕에 제한적으로 협조함. 이후 큰 저항 없이 마무리함.


🍽️ 식사 케어 저항

D (Data)
식사 시간, “배 안 고파”, “안 먹어” 반복 말하며 식판 밀침. 음식 냄새에 얼굴 찡그리고 숟가락 잡지 않음. 최근 체중 감소 있음.

A (Action)
식사 전 좋아하는 반찬 보여주며 식사 유도. 작은 양부터 제시하고, 말로 기분 공감하며 긍정적 언어 사용. 보호자에게 식사 선호도 확인함.

R (Response)
환자, 반찬 하나 맛본 뒤 “괜찮네” 말하며 숟가락 듦. 이후 50% 이상 섭취함. 편식 있으나 거부 행동 줄어듦.


💊 투약 케어 저항

D (Data)
투약 시간, “이거 안 먹을래. 독약 아냐?”라고 말하며 입 다물고 약 복용 거부. 컵 밀치려는 행동 보임. 약에 대한 불신 언급 반복됨.

A (Action)
약의 목적과 복용 이유 간단히 설명. 신뢰관계 있는 간호사가 직접 투약 시도. 약 형태(정제 → 가루/음료 등) 변경하여 거부감 최소화.

R (Response)
환자, 약 가루 상태로 복용에 일부 협조함. “그렇게 먹으면 괜찮아”라고 말하며 저항 줄어듦.


📝 DAR 간호기록 예시 – 치매 환자 (식욕 변화)

1. 식욕 저하

D (Data)
최근 3일간 식사량 30~40%로 감소. “입맛 없어”, “배 안 고파” 반복 언급. 체중 1주일 전보다 1.2kg 감소. 안색 창백하고 말수 줄어듦.

A (Action)
환자 선호 식단 확인 후 반찬 변경. 소량씩 자주 제공. 식사 시간에 정서적 지지하며 섭취 유도. 보호자와 상담하여 평소 식습관 확인 및 영양팀 연계 요청.

R (Response)
환자, 좋아하는 반찬 위주로 60% 섭취. 식사 후 “맛은 좀 괜찮네”라고 말함. 표정 약간 부드러워짐.


2. 식욕 증가

D (Data)
최근 1주일간 식사 외 간식 요구 증가. 배식 전 “밥 언제 나와요?” 반복 질문. 식사 시 빠른 속도로 섭취하며 남은 음식 요구함. 체중 1.5kg 증가 확인됨.

A (Action)
정해진 식사·간식 시간 안내하여 과다섭취 제한. 섬유소 위주의 간식 조절 제공. 혈당 체크 병행하며 식사 행동 관찰. 보호자와 현재 섭식 습관 공유.

R (Response)
환자, 간식 제한에도 불만 없이 식사 시간 지킴. 남은 음식 요구 감소함. 이후 혈당 안정적 유지됨.


📝 DAR 간호기록 예시 – 치매 환자 (배회)

D (Data)
환자, 병실 밖으로 수시로 나가 복도와 출입문 주변 배회함. “집에 가야 해”, “여기 낯설어” 반복적으로 말함. 주변 장애물 인지 어려움. 보호자 동반 시에도 반복 행동 지속됨.

A (Action)
즉시 안전하게 병실로 유도 후 현실 지지 제공. 출입문 주변 자극 최소화. 복도 낙상 위험 물품 제거 및 미끄럼 방지 조치. 병동 내 활동(산책, 퍼즐 등)으로 주의 전환 시도. 보호자에게 배회 행동 설명 및 교육.

R (Response)
환자, 병실 내에서 간단한 활동 후 앉아서 안정을 취함. 이후 2시간 동안 병실 내 머무르며 배회 행동 보이지 않음.

 

🌙  야간 배회

D (Data)
새벽 2시경 병실 외 복도에서 환자 발견됨. 조용히 문 열고 나와 “여기 왜 이렇게 어두워?”, “집에 갈 시간이지?”라고 말함. 다른 병실 앞에서 서성이는 모습 반복 관찰됨.

A (Action)
침착하게 병실로 유도 후 부드러운 말투로 안심시킴. 조도 조절하여 병실 밝게 유지. 낙상 예방을 위해 침상 주변 정리. 수면 환경 점검 및 수면 유도.

R (Response)
환자, 병실 복귀 후 “그럼 좀 더 있을게”라고 말하며 침상에 누움. 이후 새벽까지 배회 행동 보이지 않음.


⚠️ 공격적 배회

D (Data)
환자, 복도 배회 중 동료 환자에게 “비켜!”라고 외치며 어깨 밀침. 병동 문 손잡이 세게 당기며 소리 지름. 간호사가 제지 시 손을 밀치며 흥분된 표정 보임.

A (Action)
즉시 안전한 거리 확보 후 침착하게 진정 유도. 부드럽고 단호한 말투로 병실로 안내. 자극 요인 제거 후 보호자 및 주치의에게 상황 보고. 안전사고 예방 위해 행동 관찰 강화.

R (Response)
병실 도착 후 환자 숨 고르며 “왜 그렇게 화냈는지 모르겠어…”라고 말함. 이후 침상에 앉아 진정된 모습 보임. 물리적 접촉 없는 상태에서 경과 관찰 중.


🚪 출입문 탈출 시도

D (Data)
환자, 병동 출입문 앞에서 손잡이를 잡고 여러 차례 열려고 시도함. “집에 데리러 온다니까!”라고 말하며 문 두드림. 보호자 없는 상태에서 10분간 문 앞 배회함.

A (Action)
환자 곁에 다가가 차분히 현실 지지 제공. 병실로 동행 후 문 앞 물리적 차단물 정리. 병동 출입문 경보 장치 점검. 보호자에게 상황 전달 후 함께 대처 방안 논의.

R (Response)
환자, 병실 침상에 앉아 “기다려야겠지 뭐”라고 말함. 이후 출입구 근처 배회 관찰되지 않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