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령·성별 맞춤 건강관리/노년층 건강관리

저나트륨혈증 (Hyponatremia)검사결과

반응형

 

저나트륨혈증 (Hyponatremia)

정의

정의 혈청 나트륨 농도가 135 mEq/L 이하로 감소한 상태로, 세포외액에서의 삼투압 불균형을 초래함.

병태생리

주요

메커니즘

혈장 내 나트륨 농도 감소 또는 수분 증가로 인한 희석 → 혈장 삼투압 감소 → 세포 내 수분 이동 → 세포 팽창
결과 뇌세포 팽창 → 두개내압 증가 → 신경학적 증상 유발 가능

 

 원인

분류 원인
고체액성 (Hypervolemic) 심부전, 간경화, 신증후군
등체액성 (Euvolemic) SIADH, 갑상선 기능저하증, 부신기능저하, 약물(SSRI 등)
저체액성 (Hypovolemic) 설사, 구토, 이뇨제 사용, 출혈, 화상

임상증상

혈청 Na+ 수치 증상
130~135 mEq/L (경증) 두통, 피로, 오심, 집중력 저하
125~129 mEq/L (중등도) 혼란, 근육 경련, 방향 감각 상실
<125 mEq/L (중증) 발작, 혼수, 뇌부종, 사망 위험

진단검사

검사 항목 목적
혈청 나트륨, 삼투압 저나트륨 여부 및 희석/실질적 결핍 감별
소변 나트륨, 소변 삼투압 원인 파악 (SIADH, 탈수 등)
혈청 BUN, Creatinine 신장 기능 평가
TSH, Cortisol 내분비 질환 감별
뇌 CT/MRI 의식 변화 시 뇌부종 또는 구조적 병변 평가

치료 및 간호

치료

상태 치료 방법
고체액성 수분 제한, 이뇨제, 염분 보충
등체액성 (SIADH 등) 수분 제한, 바소프레신 길항제 (tolvaptan)
저체액성 0.9% 생리식염수 투여
중증 (급성 <125) 3% 고장성 식염수 주의 깊게 투여 (속도 조절 필수)

간호

간호 중재 설명
의식 및 신경학적 상태 관찰 혼돈, 혼수, 발작 조기 발견
I/O 측정, 체중 기록 수분 상태 모니터링
수분 제한 교육 과잉 수분 섭취 방지
정맥 수액 투여 시 속도 조절 빠른 나트륨 교정 방지 → 삼투성 탈수초증후군 예방
약물 모니터링 이뇨제, 항우울제 등 부작용 확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