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치매 환자의 정신행동증상(BPSD)
치매는 단순히 기억력이 떨어지는 병이 아닙니다. 많은 치매 환자들은 망상, 환각, 불안, 초조, 공격성, 우울감, 수면장애 등 다양한 **정신행동증상(BPSD)**을 함께 겪습니다. 이런 행동은 환자 본인뿐 아니라 돌보는 가족과 간병인에게도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치매 환자에게 자주 나타나는 BPSD 증상들을 하나하나 살펴보고, 실질적인 대응 팁과 간호중재 방법까지 함께 안내드립니다.
망상
- 정의: 사실이 아닌 믿음을 확신하며 반복적으로 주장하는 증상
- 사례:
- "딸이 돈을 훔쳐갔다고 주장하며 고함을 지름"
- "옆 침상 환자가 자신의 약을 가져갔다고 항의함"
- "남편이 바람을 피운다고 화를 냄"
- 대응 및 간호중재 팁:
- 사실을 바로잡기보다는 감정에 공감하며 안심시킴
- 자극이 될 수 있는 환경 요소 제거
- 반복되는 망상은 기록하여 의료진과 공유해 약물 조절 검토
환각
- 정의: 실제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보고 듣는 지각 이상
- 사례:
- "방 안에 누가 있다고 말하며 창문을 가리킴"
- "천장에서 목소리가 들린다며 귀를 막음"
- "음식에 벌레가 있다며 식사를 거부함"
- 대응 및 간호중재 팁:
- 환각을 부정하지 말고 감정에 공감
- 조용하고 안정된 환경 조성
- 자주 환각이 반복될 경우 신경과 상담 의뢰
초조 / 공격성
- 정의: 불안, 긴장으로 인해 흥분하거나 폭력적인 행동을 보임
- 사례:
- "간호사 손을 밀치며 욕설함"
- "의자를 던지고 주변 환자에게 소리 지름"
- "목욕 거부하며 팔을 휘두름"
- 대응 및 간호중재 팁:
- 자극을 최소화하고 침착하게 대응
- 위협적인 경우 물리적 안전 확보
- 반복될 경우 항불안제나 진정제 등 약물 고려
우울/낙담
- 정의: 무기력, 슬픔, 절망감 등을 보이며 의욕이 저하된 상태
- 사례:
- "‘나는 쓸모없는 사람’이라며 눈물 흘림"
- "하루 종일 침대에 누워 대화 없음"
- "식사를 거부하고 고개를 떨굼"
- 대응 및 간호중재 팁:
- 경청과 따뜻한 정서적 지지 제공
- 활동 참여 유도 및 소규모 사회적 자극 활용
- 필요시 정신건강의학과 협진
불안
- 정의: 과도한 걱정, 두려움, 안절부절 못하는 행동
- 사례:
- "딸이 자신을 버린 것 아니냐며 계속 물음"
- "낯선 방문자에게 경계하며 뒤로 숨음"
- "출입문을 계속 열어보며 나가려 함"
- 대응 및 간호중재 팁:
- 반복적인 안심과 친숙한 환경 유지
- 시간·장소·인물에 대한 반복 설명
- 불안 유발 요인을 파악하여 제거
들뜬 기분 / 다행감
- 정의: 기분이 지나치게 고양되어 과하게 말하거나 행동함
- 사례:
- "기분이 좋다며 큰소리로 노래 부름"
- "춤을 추며 다니고 간호사에게 장난 걸기 반복"
- "자신이 유명인이라며 자랑함"
- 대응 및 간호중재 팁:
- 자극 줄이기 (TV, 소리 등)
- 신체 활동 후 휴식 제공
- 지속적일 경우 조증 여부 감별 필요
무감동 / 무관심
- 정의: 외부 자극에 반응이 없고 감정 표현이 줄어드는 상태
- 사례:
- "활동이나 식사에 전혀 흥미를 보이지 않음"
- "가족 면회 시에도 무표정하게 앉아 있음"
- "질문에 반응 없이 멍한 표정 유지"
- 대응 및 간호중재 팁:
- 간단하고 반복적인 활동 권유
- 정서적 접촉(이름 부르기, 손 잡기 등)
- 기분장애 동반 여부 모니터링
탈억제
- 정의: 상황에 맞지 않는 충동적이고 부적절한 행동을 보임
- 사례:
- "이성 환자에게 신체 접촉 시도"
- "속옷 차림으로 병동 배회"
- "음담패설을 하며 웃음"
- 대응 및 간호중재 팁:
- 자극 회피 및 빠른 환경 변경
- 부드럽고 단호한 제지
- 반복 시 약물 중재 고려
과민 / 불안정
- 정의: 작은 자극에도 쉽게 짜증을 내고 감정 변화가 심함
- 사례:
- "TV 소리가 크다며 리모컨 던짐"
- "치료 중 물 온도가 맞지 않는다며 고함"
- "간호사 말에 짜증 내며 손으로 탁자 침"
- 대응 및 간호중재 팁:
- 자극 줄이고 부드러운 어조 사용
- 일정한 루틴 유지로 안정감 제공
- 감정 기복 기록하여 팀 공유
이상행동 / 반복행동
- 정의: 목적 없이 같은 말을 반복하거나 비정상적인 행동을 반복함
- 사례:
- "계속해서 방문을 열었다 닫았다 반복함"
- "‘집에 가야 해요’라는 말만 수차례 반복"
- "벽을 두드리며 소리침"
- 대응 및 간호중재 팁:
- 반복 행동의 패턴 파악 및 리다이렉션
- 집중할 수 있는 단순한 작업 제시
- 지나치게 제지하지 않되 안전 확보
수면 / 야간행동
- 정의: 낮밤이 바뀌거나 야간 활동이 증가하는 증상
- 사례:
- "새벽에 큰 소리로 TV 시청하며 주변 방해함"
- "야간에 병실 복도 배회"
- "잠에서 깨 ‘지금이 아침’이라며 활동 시작함"
- 대응 및 간호중재 팁:
- 낮에 활동량 늘리고 낮잠 제한
- 취침 전 조용한 환경 조성
- 야간 행동 반복 시 약물 조절 필요 여부 검토
식욕 / 식습관 변화
- 정의: 식욕 증가 또는 감소, 이상한 식사 행동이 나타남
- 사례:
- "식사 후에도 계속 ‘밥 더 달라’ 요청 반복"
- "단 음식만 골라 먹고 일반식은 거부"
- "다른 환자의 식판에 손을 대려 함"
- 대응 및 간호중재 팁:
- 식사 시간과 양 조절
- 식사 도구나 자리를 개별화해 혼란 최소화
- 필요시 영양상담 연계
케어에 대한 저항
- 정의: 세면, 복약, 목욕 등 일상 돌봄에 협조하지 않는 상태
- 사례:
- "양치하려 하자 입을 다물고 고개 흔들며 거부함"
- "목욕 중 물을 튀기며 거칠게 저항함"
- "약을 입에 넣고 뱉어냄"
- 대응 및 간호중재 팁:
- 사전 설명과 부드러운 접근
- 거부 시 잠시 대기 후 재시도
- 선호도와 루틴 반영한 맞춤 케어
배회
- 정의: 목적 없이 돌아다니거나 외출하려는 행동을 반복함
- 사례:
- "‘집에 간다’며 출입문을 계속 당김"
- "복도를 따라 같은 방향으로 반복해서 걸음"
- "타 병실에 자꾸 들어가려 함"
- 대응 및 간호중재 팁:
- 안전한 동선 확보 (문 잠금, 완충 매트 등)
- 목적 없는 배회를 산책이나 활동으로 유도
- 손목밴드, 이름표 착용 등 식별 조치
마무리하며
치매 환자의 BPSD는 환자의 잘못이 아닌 질병의 증상입니다. 그 증상 뒤에는 불안, 외로움, 혼란, 슬픔 같은 감정이 숨어 있죠.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완벽한 통제가 아니라, 환자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지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조금 더 이해하고, 한 번 더 공감하며… 우리도, 환자도 덜 힘든 하루를 만들 수 있기를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연령·성별 맞춤 건강관리 > 노년층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실금,조기 대처가 중요한 이유 (1) | 2025.03.29 |
---|---|
요로감염 방치하면 생명 위협?! 패혈증 (0) | 2025.03.29 |
치매 환자의 정신행동증상(BPSD) 정의, 설명, 기록 예시 (0) | 2025.03.28 |
저나트륨혈증이란? 원인,증상,치료까지 한눈에! (2) | 2025.03.27 |
저나트륨혈증 (Hyponatremia)검사결과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