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담낭염의 병태생리, 임상 증상 및 급·만성 감별과 치료 접근
담낭염(cholecystitis)은 담낭(쓸개)에 염증이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주로 담석(cholelithiasis)에 의해 유발됩니다. 특히, 중년 이상의 성인에서 복통의 원인으로 자주 확인되며, 조기 진단 및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담낭 천공이나 복막염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담낭염의 병태생리부터 임상 양상, 급성/만성의 감별 포인트, 그리고 최신 치료 접근법까지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병태생리 (Pathophysiology)
담낭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담석에 의한 낭관(cystic duct)의 폐쇄입니다. 이로 인해 담즙의 유출이 차단되고, 담낭 내 압력이 상승하며, 염증 반응이 시작됩니다.
1.급성 담낭염 (Acute Cholecystitis)
- 기전: 낭관 폐쇄 → 담즙 정체 → 점막 허혈 및 손상 → 2차 세균 감염
- 세균 감염: 흔히 장내 세균인 E. coli, Klebsiella, Enterococcus가 관여
- 염증 진행: 단순 염증 → 괴사성 담낭염 → 천공 또는 농양
2.만성 담낭염 (Chronic Cholecystitis)
- 기전: 반복적인 경도의 염증 → 담낭벽의 섬유화 및 위축 → 기능 저하
- 특징: 석회화된 담낭(porcelain gallbladder)로 진행 시 담낭암과 연관성
임상 증상 (Clinical Manifestations)
공통 주요 증상
- 오른쪽 윗배 통증 (Right Upper Quadrant pain)
→ 갑작스럽고 지속적인 통증, 식후 심해지는 경우 많음 - 발열과 오한: 전신 염증 반응
- 오심 및 구토: 위장관 연동 운동 저하로 인한 이차 증상
- Murphy's sign: 검사자가 오른쪽 갈비 아래를 누른 상태에서 환자가 숨을 들이쉴 때 통증으로 호흡을 멈추는 양성 소견
중증 시 동반 증상
- 황달: 총담관폐쇄가 동반된 경우
- 쇼크 증상: 패혈증, 담낭천공 등으로 진행 시
급성 vs 만성 담낭염 감별
구분 | 급성담낭염 | 만성담낭염 |
원인 | 낭관 폐쇄 + 세균 감염 | 반복적인 염증 반응 |
통증 양상 | 갑작스럽고 지속적인 통증 | 간헐적 불쾌감, 무증상인 경우도 |
발열 및 백혈구 상승 | 흔함 | 없음 또는 경미 |
영상 소견 | 담낭비대, 벽 비후, 담즙 저류 | 담낭위축, 석회화 가능 |
예후 | 치료 지연 시 합병증 위험 ↑ | 장기적 관리 또는 수술 필요 |
진단 평가 (Evaluation & Diagnosis)
생화학적 검사
- 백혈구 증가(WBC ↑), CRP 상승
- 간기능검사: AST/ALT, ALP, 총빌리루빈 확인 (담도 폐쇄 동반 시 상승)
영상 진단
- 복부 초음파: 1차 선택 검사
→ 담낭벽 비후(>3mm), 담낭확장, 담즙 슬러지, 낭관폐쇄 확인 - CT 또는 MRI: 합병증 의심 시 유용 (담낭천공, 농양 등)
- HIDA scan: 담낭 기능 평가 및 진단에 활용
치료 접근 (Treatment Strategy)
1) 보존적 치료
- 금식(NPO) 및 수액공급
- 진통제(예: NSAIDs, morphine 계열)
- 경험적 항생제 사용
→ ceftriaxone + metronidazole, 또는 piperacillin-tazobactam 등
2) 외과적 치료
- 담낭절제술 (Cholecystectomy)
- 급성기 수술이 원칙 (가능하면 72시간 이내)
- 대부분 복강경(laparoscopic) 방식 사용
- 경피적 담낭 배액술 (PTGBD)
- 수술 고위험군 환자(고령, 기저질환 多)에서 사용
합병증 및 예후
- 담낭 천공 및 복막염
- 담관염 또는 담즙 누출
- 패혈증 및 쇼크
- 담낭암(특히 만성 염증 및 석회화 담낭에서 위험 증가)
빠른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이루어진다면 대부분의 급성 담낭염은 예후가 양호합니다. 만성 담낭염의 경우에도 담낭절제술 후 장기적 경과가 좋습니다.
마무리: 임상에서의 포인트 정리
- RUQ 통증이 있는 환자에서 초음파와 염증 수치는 필수
- 고령, 당뇨 환자에서는 비전형적인 증상 가능 → 주의 깊은 평가 필요
- 급성기에는 조기 수술 원칙이 중요 (72시간 이내)
- 수술 고위험군에서는 담낭 배액술 후 추후 수술 고려
728x90
반응형
'질환별 건강정보 > 소화기, 호흡기, 비뇨기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핵(치질)의 모든 것: 원인부터 증상, 치료까지 한눈에 정리 (4) | 2025.04.10 |
---|---|
ERCP란 ? 담관·췌관 질환의 진단과 치료 핵심 기술 (2) | 2025.04.07 |
췌장의 위치,췌장염,췌장암에 관해서 (26) | 2025.04.02 |
🩺 신경인성 방광 환자를 위한 간헐적 자가도뇨(CIC) (1) | 2025.04.01 |
🦠 잠복결핵이란? 검사부터 치료까지 한눈에 보기 (5) | 2025.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