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횡문근융해증(Rhabdomyolysis)
질환 개요
- 정의: 골격근이 손상되며 근세포 내 단백질(미오글로빈, 크레아틴 키나아제 등)이 혈액으로 유출되는 질환.
- 주요 원인: 과도한 고강도 운동, 탈수, 충분하지 않은 회복 등이 근육 손상을 유발.
주요 원인
- 고강도 운동: 웨이트 트레이닝, 크로스핏, 마라톤 등
- 무리한 근력 운동: 준비 없이 과도한 중량 사용
- 회복 부족: 휴식 없이 반복 운동
- 탈수: 수분 섭취 부족 시 위험 증가
- 지속적 근육 수축: 장시간 강도 높은 운동
- 극한 환경: 무더위·한랭 속 운동
- 전해질 불균형: 칼륨, 나트륨, 칼슘 부족
주요 증상
근육 관련
- 심한 근육통 (전신적)
- 근육 경직, 부종
- 근력 저하
- 근육 경련
소변·신장 관련
- 콜라색 소변 (미오글로빈 배출)
- 소변량 감소
- 급성 신부전 가능성
전신 증상
- 피로감, 무기력
- 메스꺼움, 구토
- 발열, 오한
- 어지럼증, 의식 저하
합병증
- 고칼륨혈증: 심장 부정맥 위험
- 전해질 불균형: 신경·근육 기능 저하
- 급성 신부전(ARF)
- 다발성 장기 부전
치료 방법
1. 수액 치료
- 생리식염수: 신장 보호 및 독소 배출
- 중탄산나트륨: 소변 알칼리화 → 미오글로빈 배출
- 이뇨제(필요시): 만니톨 등
2. 전해질 교정
- 고칼륨혈증: 인슐린+포도당, 칼슘 글루코네이트, 필요시 혈액투석
- 저칼슘혈증 / 저나트륨혈증 보정
3. 신장 보호
- 소변량 모니터링
- 혈액투석(필요시)
4. 근육 회복
- 충분한 휴식
- 통증 조절: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NSAIDs는 주의
- 영양 보충: 단백질, 비타민 C, E 등 항산화제
입원 필요 기준
- 소변량 400ml/일 이하
- CK 수치 10,000 U/L 이상
- 고칼륨혈증(6.5 mmol/L 이상)
- 급성 신부전 의심 시
예방 방법
운동 습관
- 점진적 운동 강도 증가
- 충분한 준비 운동 / 정리 운동
- 운동 후 최소 24~48시간 휴식
수분·영양 관리
- 충분한 수분 섭취
- 전해질 섭취: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 단백질 섭취: 운동 후 근육 회복 촉진
- 항산화 영양소 섭취: 비타민 C, E
회복 전략
- 충분한 수면(7~9시간)
- 근육 마사지, 폼롤러
- 냉·온찜질 병행
경고 신호 시 대처
- 심한 근육통 시 운동 중단
- 소변 색 어두우면 수분 보충 + 휴식
- 근육 경직·부종 시 병원 방문
핵심 정리
- 운동 후 극심한 근육통 + 갈색 소변 → 즉시 병원 방문
- 수분 섭취 + 휴식은 필수
- 안전한 운동 습관이 최고의 예방법!
728x90
반응형
'생활습관 & 예방의학 > 다이어트 & 체중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탄수화물 중독? (2) | 2025.04.07 |
---|---|
운동했는데 살이 안 빠졌다고요? ‘가짜 몸무게’의 정체! (21) | 2025.04.06 |
스위치온 다이어트 전후 비교 + Q&A 모음 (2) | 2025.03.23 |
"스위치온 다이어트 운동 루틴 & 루틴 스케줄러" (1) | 2025.03.23 |
스위치온 다이어트 식단 & 운동 리마인드 체크리스트 (4)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