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소변 관련 주요 약물 상세 정리
1. 항무스카린제 (Antimuscarinics)
작용기전:
- M3 무스카린 수용체를 차단하여 배뇨근(Detrusor muscle)의 과도한 수축을 억제
- 방광 저장기능 향상, 절박요실금 감소
적응증:
- 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 OAB)
- 절박뇨, 빈뇨, 절박요실금
대표 약물:
- 옥시부티닌 (Oxybutynin)
- 톨테로딘 (Tolterodine)
- 솔리페나신 (Solifenacin)
- 다리페나신 (Darifenacin)
- 페소테로딘 (Fesoterodine)
부작용:
- 구강 건조, 변비, 시야 흐림
- 인지기능 저하 (특히 고령자 주의)
- 빈맥, 어지러움
- 소화불량, 배뇨곤란
2. β3 아드레날린 작용제 (β3-Adrenergic Agonists)
작용기전:
- 방광 β3 수용체를 자극 → 방광 평활근 이완 → 수축 빈도 감소
- 저장기능 개선
적응증:
- 과민성 방광
- 절박요실금, 절박뇨
대표 약물:
- 미라베그론 (Mirabegron)
- 비베그론 (Vibegron)
부작용:
- 고혈압, 두통
- 요로감염 증가
- 빈맥, 심계항진
- 위장불편, 변비
3. 콜린성 작용제 (Cholinergic Agonists)
작용기전:
- 무스카린 수용체 자극 → 배뇨근 수축 촉진 → 방광 수축력 회복
적응증:
- 이완성 방광 (Flaccid bladder)
- 배뇨근 저활동성 (Underactive detrusor)
- 자발적 배뇨 어려움
대표 약물:
- 베타네콜 (Bethanechol)
부작용:
- 복부 경련, 설사
- 저혈압, 서맥
- 기관지경련 (천식 환자 금기)
- 타액 과다 분비, 땀 증가
4. 알파차단제 (α1-Adrenergic Blockers)
작용기전:
- 내요도괄약근 및 전립선 평활근 이완 → 배뇨 저항 감소 → 요 흐름 향상
적응증:
- 양성 전립선비대증(BPH)에 의한 배뇨곤란
- 배뇨 시 요도압 증가 문제 해결
대표 약물:
- 탐술로신 (Tamsulosin)
- 알푸조신 (Alfuzosin)
- 독사조신 (Doxazosin)
- 테라조신 (Terazosin)
부작용:
- 기립성 저혈압, 어지러움
- 사정장애, 발기부전
- 두통, 피로
- 콧물, 복부불쾌감
5. 5-알파 환원효소 억제제 (5-Alpha Reductase Inhibitors)
작용기전:
- 테스토스테론 →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 전환 억제
- 전립선 크기 축소, 요폐 위험 감소
적응증:
- 전립선비대증
- 전립선 크기 관련 배뇨 증상 개선
대표 약물:
- 피나스테리드 (Finasteride)
- 두타스테리드 (Dutasteride)
부작용:
- 성욕감퇴, 발기부전
- 사정량 감소
- 여성형 유방 (희귀)
- 전립선암 진행 여부 모니터링 필요
6. 보툴리눔 톡신 (Botulinum Toxin A)
작용기전:
- 방광 신경말단의 아세틸콜린 분비 억제 → 배뇨근 수축 억제
- 방광 과활동 조절
적응증:
- 약물 불응성 과민성 방광
- 신경인성 방광의 배뇨근 과활동
대표 약물:
- Onabotulinumtoxin A (보톡스)
부작용:
- 요정체, 자가도뇨 필요
- 반복 투여 필요 (6~9개월 효과 지속)
- 감염 위험, 혈뇨
7. 항생제 (Urinary Tract Antibiotics)
작용기전:
- 박테리아의 증식 또는 생존 억제 → 감염 치료
적응증:
- 급성/만성 요로감염
- 방광염, 신우신염, 전립선염
대표 약물:
- 니트로푸란토인 (Nitrofurantoin)
- 포스포마이신 (Fosfomycin)
-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 (TMP-SMX)
- 시프로플록사신 (Ciprofloxacin)
부작용:
- 위장장애, 오심
- 알레르기 반응
- 항생제 내성 증가
- 드물게 간독성, 폐렴 유발
8. 이뇨제 (Diuretics)
작용기전:
- 신장에서 수분과 전해질의 재흡수 억제 → 소변량 증가
적응증:
- 심부전, 고혈압
- 부종, 폐울혈
- 일부 야간뇨 조절
대표 약물:
- 푸로세미드 (Furosemide)
-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 (HCTZ)
부작용:
- 전해질 불균형 (저칼륨혈증 등)
- 탈수, 어지럼
- 이독성(고용량 시)
- 고요산혈증
9. 삼환계 항우울제 (Tricyclic Antidepressants, TCA)
작용기전:
- 신경감각 억제 + 괄약근 수축력 증가
- 노르에피네프린/세로토닌 재흡수 억제
적응증:
- 야뇨증 (소아, 성인)
- 긴장성 요실금
- 과민성 방광의 보조치료
대표 약물:
- 이미프라민 (Imipramine)
- 아미트립틸린 (Amitriptyline)
부작용:
- 졸림, 체중 증가
- 항콜린성 부작용 (구강건조, 변비)
- 심장 부정맥 (고용량 시 주의)
10. 항이뇨 호르몬 유사제 (ADH Analogues)
작용기전:
- 신장에서 수분 재흡수 촉진 → 야간뇨 억제
- 소변 농축 작용
적응증:
- 야뇨증 (소아, 성인)
- 중추성 요붕증
대표 약물:
- 데스모프레신 (Desmopressin)
부작용:
- 저나트륨혈증 (특히 고령자, 고용량 시 주의)
- 체중 증가, 두통
- 수분 과다섭취 시 중독 위험
728x90
반응형
'질환별 건강정보 > 소화기, 호흡기, 비뇨기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안이 자꾸 헐어요!― 구내염의 원인, 영양소, 생활치료까지 완전 정리 (10) | 2025.04.22 |
---|---|
부신이 일을 멈추면 생기는 병, Addison병(애디슨병) (22) | 2025.04.18 |
항문질환, 알고 나면 예방할 수 있어요! (4) | 2025.04.10 |
치핵(치질)의 모든 것: 원인부터 증상, 치료까지 한눈에 정리 (4) | 2025.04.10 |
ERCP란 ? 담관·췌관 질환의 진단과 치료 핵심 기술 (2)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