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환별 건강정보/뇌신경 질환 (치매, 뇌졸중, 파킨슨병 등)

인지저하 환자를 위한 약물치료 가이드

반응형

 

인지저하 환자를 위한 약물치료 가이드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 (Cholinesterase Inhibitors)

언제 사용하나요?

  • 알츠하이머병 초기~중기 환자에게 주로 사용
  • 혈관성 치매, 루이소체 치매에도 일부 효과 있음

대표 약물 & 특징

약물명 특징 부작용
도네페질 (Aricept) 가장 많이 쓰이는 약. 하루 1번 복용 메스꺼움, 설사, 어지럼증
리바스티그민 (Exelon) 패치제도 있음 (피부에 붙이는 약) 위장 부작용 적고, 패치형은 간편함
갈란타민 (Reminyl) 식사와 함께 복용 권장 소화 불량, 두통 가능

 

쉽게 말하면
→ 뇌 속 ‘아세틸콜린’이라는 기억물질이 더 오래 작용하게 도와주는 약입니다.


NMDA 수용체 길항제 (Glutamate 조절약)

💊 약물명: 메만틴 (Memantine, Namenda)

 

언제 사용하나요?

  • 알츠하이머병 중기~말기
  • 위의 약들과 병용해서도 사용 가능

특징

  • 과도한 자극으로부터 뇌세포를 보호해주는 역할
  • 하루 1~2회 복용
  • 부작용: 어지러움, 혼란감 드물게 있을 수 있음

쉽게 말하면
→ 뇌가 과하게 자극받지 않도록 ‘진정제 역할’을 해주는 약입니다.


보조약물 (증상 조절 목적)

증상 사용약물 주의할 점
불안, 초조, 불면 로라제팜, 졸피뎀 등 수면제 졸림, 낙상 주의 (최소 용량, 단기 사용)
우울감 SSRI 계열 (예: 에스시탈로프람) 효과는 서서히 나타남 (2~4주)
환각, 망상 리스페리돈 등 항정신병약 부작용(졸림, 근육강직 등)에 주의

 

꼭 기억하세요!

  • 인지저하 환자에게 항정신병약은 매우 신중히 사용해야 합니다.
  •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약 없이 비약물적 접근(말로 달래기, 환경 조절 등)이 우선입니다.

약물치료 시 주의사항

  1. 갑자기 끊지 않기 – 서서히 줄여야 부작용 없이 중단 가능
  2. 간·신장 기능 확인 필요 – 노인 환자는 대사 기능이 떨어져 있음
  3. 부작용 모니터링 철저히 – 특히 낙상, 혼동, 식욕부진 등

📌 약물 외에도 중요한 것

  • 운동과 사회적 자극도 인지 기능 유지에 매우 중요합니다.
  • 영양 상태, 수면 관리도 함께 신경 써주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