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운동으로 극복하는 요실금!
요실금이란?
요실금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소변이 새는 상태를 말합니다.
요양병원에 입원한 고령 환자분들 중 많은 분들이 요실금을 경험합니다.
환자에게 요실금이 잘 생기는 이유
원인 | 설명 |
노화 | 방광과 요도 근육이 약해지고, 저장·배출 기능이 떨어짐 |
질병 | 뇌졸중, 파킨슨병, 치매, 당뇨 등으로 신경계 기능 이상 |
장기 침상 생활 | 골반저근이 약해지고, 배뇨 신호 감각 둔화 |
보행·이동 제한 | 스스로 화장실에 가기 어려움 (기능성 요실금) |
약물 영향 | 이뇨제, 수면제 등으로 인해 소변이 자주 마려움 |
케겔운동 방법 (골반저근 운동)
🔸 누운자세에서
- 다리를 살짝 굽힌 상태로 편안히 눕기
- 항문과 요도 주변에 힘을 줘서 “소변을 참는 느낌”으로 조이기
- 3~5초간 유지 → 5초 쉬기 → 10회 반복
- 하루 3~4세트 시행 (피로도에 따라 조절)
🔸 앉은자세에서(휠체어,침대 올림등)
- 등받이에 기대어 앉고, 하복부에 힘 주지 않도록 주의
- 동일하게 항문/요도 조이기 → 3~5초 유지 → 10회 반복
💡 “바닥에 떨어진 콩알을 항문으로 빨아들이는 느낌”이라고 설명하면 이해가 쉬움
요실금 대체 방법 및 치료방법
요실금대체방법
대체방법 | 설명 |
전기자극치료 | 골반저근에 미세한 전기 자극을 줘서 근육 수축 유도 |
도수치료 | 물리치료사가 손으로 근육 위치를 유도하고 강화함 |
호흡 훈련 병행 | 복식호흡을 통해 골반저근 활성화 유도 가능 |
요실금 치료 방법
방법 | 설명 |
행동요법 | 배뇨시간 조절, 화장실 접근성 개선, 배뇨일지 작성 |
약물치료 | 과민성 방광 약, 요도 조임근 강화 약 등 (의사 처방) |
보조도구 사용 | 기저귀, 요실금 팬티, 방수패드, 도뇨관 등 적절히 선택 |
수술적 치료 | 중증 요실금 환자에 한해 고려 (드물게 적용) |
요양병원 환자를 위한 예방법
- 정해진 시간에 배뇨 유도 (예: 2~3시간 간격)
- 적절한 수분 섭취 유지 (탈수 예방하면서 과잉 방지)
- 카페인, 이뇨작용 음식 제한 (커피, 탄산음료 등)
- 골반저근 운동 또는 대체자극 치료 시행
- 배뇨일지 기록 (배뇨 시간, 양, 사고 여부 등)
- 위생용품 적절히 사용 및 피부 보호
- 기립훈련, 스트레칭 등 활동 유지로 근력 보호
💬 보호자와 요양병원 직원에게
요실금은 자연스러운 노화 현상이 아닙니다.
환자에게 수치심을 주지 않고,
꾸준한 훈련과 적절한 보조로 충분히 개선될 수 있습니다.
케겔운동은 간단하지만 꾸준함이 핵심입니다.
환자의 자존감 회복과 일상 기능 유지에 큰 도움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연령·성별 맞춤 건강관리 > 노년층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자의 섭취량과 배설량(I&O) 측정 (3) | 2025.03.30 |
---|---|
🩺 요실금의 종류와 특징 및 약물치료 (0) | 2025.03.30 |
요실금,조기 대처가 중요한 이유 (1) | 2025.03.29 |
요로감염 방치하면 생명 위협?! 패혈증 (0) | 2025.03.29 |
치매 환자의 정신행동증상(BPSD) 사례집 (1)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