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뇌전증, 평생 약을 먹어야 하나요?
👉 뇌전증 치료 과정과 약물치료에 대한 오해와 진실
🧠 “발작이 멈췄는데, 약을 계속 먹어야 하나요?”
많은 보호자와 환자분들이 이런 질문을 하십니다.
“아이(혹은 본인)는 이제 발작도 없는데, 왜 약을 계속 먹어야 하죠?”
혹은 “이 약, 평생 먹어야 하는 건가요?”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항경련제(항전간제)는 장기복용이 필요한 경우가 많지만, ‘평생’ 복용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정해진 조건을 만족할 경우, 약을 줄이거나 끊을 수도 있습니다.
단, 의사 지시 없이 임의로 중단하면 오히려 발작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1.뇌전증 약물치료, 어떻게 진행되나요?
단계 | 내용 | 목표 |
초기 진단 시 | 항경련제 1~2종 시작 | 발작 조절, 부작용 최소화 |
6개월~2년 이내 | 발작 여부 모니터링, 혈중 약물농도 체크 | 용량 조절, 부작용 관리 |
2년 이상 무발작 유지 시 | 약물 감량 또는 중단 고려 가능 | 약물 없이도 발작 없게 유지 가능 여부 평가 |
2. 약을 끊을 수 있는 경우는 언제인가요?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약물 중단을 고려해볼 수 있어요.
✅ 2년 이상 발작이 전혀 없고
✅ 뇌파(EEG)에서 비정상파형이 사라졌거나 안정적이며
✅ MRI 등 구조적 뇌질환이 없고
✅ 특정 유전 뇌전증이 아닌 경우
단, 소아 뇌전증 중 일부 유형(예: 소아결신발작, 양성롤란딕 뇌전증 등)은 성장과 함께 자연 소실되며 약 중단 가능성이 높지만,
성인 이후 발병했거나, 구조적 뇌병변이 있는 경우에는 장기복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항경련제 종류 및 작용 비교표
약물명 (상품명) | 작용기전 | 주요 적응증 | 특징 | 흔한 부작용 |
발프로산 (디파코트 등) |
GABA 농도 ↑ (억제성 강화) |
전신발작, 부분발작, 결신발작 |
다양한 발작에 효과, 범용성↑ | 체중 증가, 간독성, 탈모 |
카바마제핀 (테그레톨) |
Na+ 채널 차단 | 부분발작, 삼차신경통 |
부분발작에 1차 선택약 | 어지러움, 졸림, 피부 발진 |
옥스카바제핀 (트릴렙탈) |
Na+ 채널 차단 | 부분발작 | 카바마제핀보다 부작용 적음 | 저나트륨혈증, 두통 |
레베티라세탐 (케프라) |
시냅스 단백질 조절 (SV2A) |
부분 및 전신발작 | 간대발작에도 효과, 약물 상호작용 적음 |
과민반응, 기분 변화 |
라모트리진 (라믹탈) |
Na+ 채널 억제 + Glu 억제 | 부분·전신·양극성장애 | 발작 예방 + 기분조절 효과 | 발진, 스티븐존슨 증후군 |
토피라메이트 (토파맥스) |
Na+ 억제, GABA 활성, Glu 차단 | 전신발작, 부분발작, 편두통 예방 |
체중 감소 경향, 다기능 | 인지 저하, 신장결석 |
클로나제팜 (리보트릴) |
GABA 수용체 작용 | 결신발작, 간대성 발작 |
빠른 효과, 내성 발생 가능 | 졸림, 의존성, 반동 발작 |
에소스카바제핀 (아프란) |
Na+ 채널 차단 | 부분발작 (성인용) | 옥스카바제핀 계열, 간단 복용 |
졸림, 저나트륨혈증 |
✅ 참고사항
- 복용 시간 엄수와 정기 혈중 농도 측정이 중요한 약물이 많습니다.
- 스스로 약을 끊거나 줄이지 않도록 보호자 교육이 꼭 필요합니다.
- 약물 선택은 환자의 나이, 발작 종류, 동반 질환, 부작용 위험성 등을 고려해 맞춤형으로 결정합니다.
4. “약 부작용이 걱정돼요…”
많은 분들이 약물 복용에 대해 걱정하는 이유는 부작용입니다.
사실 | 예시 |
졸림, 집중력 저하 | 수면 부족이나 고용량 시 주의 |
위장 장애 | 메스꺼움, 속쓰림 |
피부 발진 | 알레르기 반응이 있을 수 있음 |
체중 증가 | 일부 항경련제에서 나타남 |
골밀도 감소 | 장기 복용 시 칼슘·비타민D 관리 필요 |
✅ 대부분은 약 조절 또는 대체 약제로 충분히 관리 가능합니다.
✅ 부작용이 걱정된다면 중단보다 조절이 우선입니다.
❗ 꼭 기억해야 할 3가지
- 임의로 약을 끊지 마세요.
→ 뇌전증 약을 갑자기 끊으면 발작이 심해질 수 있고, 심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어요. - 의사의 지시에 따라 서서히 감량합니다.
→ 보통 수개월에 걸쳐 천천히 줄이면서 경과를 확인합니다. - 약을 끊은 뒤에도 1~2년간 정기 추적검사가 필요합니다.
✅ 오해와 진실 요약
오해 | 사실 |
“한 번 발작 없으면 약 끊어도 돼요” | → 아닙니다. 2년 이상 무발작이어야 하고 조건이 맞아야 가능 |
“약은 평생 먹어야 해요” | → 일부는 그렇지만 대부분은 조절 가능 |
“약 부작용 때문에 먹지 말아야 해요” | → 대부분 조절 가능하며 약이 발작보다 훨씬 안전합니다 |
🧾 보호자나 환자분께 이렇게 설명해보세요 (예시 멘트)
“뇌전증 치료는 꾸준한 약 복용이 기본이에요.
발작이 없더라도 뇌 안에서는 여전히 자극이 반복될 수 있어요.
발작이 없는 기간이 충분히 유지되고, 검사 결과도 안정적이면
약을 줄이거나 끊을 수도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단, 약을 갑자기 중단하면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어요.”
728x90
반응형
'질환별 건강정보 > 뇌신경 질환 (치매, 뇌졸중, 파킨슨병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우울증·뇌졸중, 모두 고혈압 때문?! (5) | 2025.04.27 |
---|---|
💬 뇌전증, 이것이 궁금해요! Q&A (12) | 2025.04.18 |
의식 소실과 전신 강직성 경련, 뇌전증의 발작 유형별 감별 진단 가이드 (26) | 2025.04.18 |
뇌혈전 vs 뇌출혈, 어떻게 다를까? (17) | 2025.04.18 |
갑자기 말이 어눌하고 한쪽 팔다리에 힘이 없어요 (19)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