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이슈 & 최신의학 트렌드

MRSA만 있는 게 아니에요.ICU에서 경계해야 할 감염병균 5종

728x90
반응형

‘MRSA만 있는 게 아니에요’ ICU에서 경계해야 할 감염병균 5종

1.MRSA만 조심하면 되는 걸까?

집중치료실(ICU)에 근무하는 의료인이라면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라는 이름에 익숙할 것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거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오늘날의 ICU는 단순히 MRSA뿐 아니라, 훨씬 다양한 고위험 감염병균의 집합지가 되었습니다.

항생제가 듣지 않는 새로운 내성균주, 전파력이 강한 공기·접촉성 병원균, 의료기기 관련 감염균 등이 동시에 존재하며 ICU는 감염관리 측면에서 병원 전체에서 가장 민감한 구역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오늘날의 ICU는 단순히 MRSA뿐 아니라, 훨씬 다양한  고위험 감염병균의 집합지 가 되었습니다.

 

질병관리청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국내 의료기관 감염 감시 결과 다제내성균 검출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MRSA: 전체 병원 감염 중 32.1%
- VRE: 11.8%
- CRAB: 6.3% (ICU 집중)
- CRE: 4.9%


이는 단일균만을 조심해서는 ICU를 지킬 수 없음을 보여줍니다.


2. “이 균은 뭐죠?” 혼란스러운 현장

  • 중심정맥관에서 나온 이 균 이름이 생소하네요.
  • 환자가 CRAB 보균자인데, 환기실이 부족합니다.
  • ESBL로 요로감염이 왔는데, 격리대상인가요?

MRSA 외에도 ICU에서 자주 검출되는 감염균들이 점점 다양해지고, 그 특성과 관리 방법도 각기 다릅니다.

문제는 ‘이름은 알지만 어떤 특성이 있는지는 잘 모른다’는 점입니다.


이제는 이름과 함께 관리법, 격리 기준, 치료 방향까지 함께 이해하는 것이 감염관리 실무의 핵심이 되고 있습니다.


3. “균 이름은 알고 있나요?”

감염관리를 위해서는 단순히 격리하거나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을 넘어, 각 균주의 감염원, 전파 경로, 환경 생존력, 감염위험군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CRAB는 일반 의료기기에서보다, 흡인관, 기관절개 튜브, 혈액 투석 라인과 같은 기기에서 쉽게 검출됩니다.


VRE는 오염된 침구류나 화장실 손잡이에서, CRE는 배액관과 드레인 주변에서 자주 검출됩니다.

 

“MRSA만 조심하면 된다”는 오해는 ICU 감염관리 실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제는 '어떤 균인지' 아는 것부터 감염관리의 출발점입니다.

'어떤 균인지' 아는 것부터  감염관리의 출발점입니다.


4. ICU에서 경계해야 할 5대 감염병균

① MRS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특징: 페니실린계 항생제 내성
  • 전파경로: 손 접촉, 오염된 청진기, 체온계
  • 감염양상: 피부감염, 폐렴, 패혈증, 수술부위 감염
  • 관리: 접촉주의, 격리 필요, 개인 보호구 사용

② VRE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 특징: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faecium, faecalis)
  • 전파경로: 장루, 대변, 화장실, 침구류
  • 감염양상: 요로감염, 복강염, 균혈증, 장염
  • 관리: 접촉주의 + 화장실 환경 소독 중요

③ CRAB (Carba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 특징: 다제내성균, 건조환경 생존, ICU 집중 검출
  • 전파경로: 손, 의료기기, 환경표면
  • 감염양상: 호흡기 감염, 흡인성 폐렴, 패혈증
  • 관리: 격리 + 표면소독 + cohort 격리 권장

④ ESBL-producing bacteria (E. coli, Klebsiella spp.)

  • 특징: 3세대 세팔로스포린 내성, 요양병원에서 빈번
  • 전파경로: 접촉, 도뇨관, 장루 주위 피부
  • 감염양상: 요로감염, 복강염, 드레인 감염
  • 관리: 항생제 감수성 확인 + 표준주의

⑤ CRE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ales)

  • 특징: KPC/NDM/OXA 등 카바페넴 분해효소 보유
  • 전파경로: 접촉, 배액기, 중심정맥관
  • 감염양상: 균혈증, 복강염, 수술 부위 감염
  • 관리: 격리 + 국가감시등록대상 + 전원 시 정보 공유 필수

5. 핵심 특성 요약표

균명 항생제 내성 감염 부위 전파 경로 관리 전략
MRSA 페니실린계 피부, 폐, 혈류 접촉, 의료기기 접촉주의 + 격리
VRE 반코마이신 장, 요로, 복강 접촉, 배설물 접촉주의 + 화장실 소독
CRAB 카바페넴 포함 다제내성 폐, 혈류 환경, 기구 격리 + 표면소독 + cohort
ESBL 3세대 세팔로스포린 요로, 복강 접촉 표준주의
CRE 카바페넴 복강, 혈류 접촉, 배액기 격리 + 항생제 제한 + 전원 시 정보 공유

6. 5균 핵심 비교 요약

  • MRSA: 피부·기관절개·상처 → 개인보호구 + 격리
  • VRE: 장루·화장실 접촉 위험 → 화장실 환경 소독 필요
  • CRAB: 인공호흡기·흡인환자 중심 → 침상 주변 집중소독
  • ESBL: 요양병원 고위험군 많음 → 도뇨관 관리 철저
  • CRE: 전국 감염병감시 등록균 → 감염정보 공유 중요


7. ICU 감염관리, 팀워크가 답이다

👩‍⚕️ 의료진 여러분: 감수성 결과 확인 후 항생제 처방, PPE 착용, 격리자 코호트 분리, 손 위생 습관화

👨‍👩‍👦 보호자: 병문안 제한, 음식 반입 금지, 손 소독 후 보호구 착용 후 환자 접촉

 

의료진-보호자 간 협력 체계가 ICU 감염의 최전선입니다.

 

ICU 감염관리는 단순한 ‘주의’가 아닌 구조적 ‘준비’입니다.


MRSA만 아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이제는 ICU에서 자주 출현하는 다양한 병원균에 대한 인식과 실천이 생명을 지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