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령·성별 맞춤 건강관리/노년층 건강관리

노인 돌봄 로봇 기능 비교표

반응형

 

1. 노인 돌봄 로봇 기능 비교표


2. 기능별 요약 분석

기능 항목  요 지원 로봇
인지 훈련 콘텐츠 제공 실벗, 파이보, 루보
감성 교류 (대화, 표정 반응 등) 파로, 루보, 엘리큐
영상통화 및 가족 연결 파이보, 루보, 엘리큐
낙상/응급 감지 기능 루보, 엘리큐 (실벗은 일부 지원)
고령자 맞춤 설계 전 기종 가능, 파로·루보는 정서 치유에 특화

3. 선택 팁!

  • 인지 훈련이 중요하다면 → 실벗, 파이보 추천
  • 정서적 교감이 필요하다면 → 파로, 엘리큐
  • 응급대응이 중요하다면 → 루보, 엘리큐
  • 사용자 친화성과 가정형 로봇이 필요하다면 → 파이보

4. 노인 돌봄 로봇 가격대 비교표 (2025년 기준)

로봇명 형태 주요 기능  구매가(예상)  비고
실벗
(Silbt)
대형 스탠드형 인지자극 콘텐츠, 표정·음성 반응 500만 원~800만 원 보건소·복지관 중심 시범 운영
/ 개인 구매 어려움
파이보
(PIBO)
소형 탁상형 일상 대화, 퀴즈·노래, 알림 기능 100만 원~180만 원 가정용으로 적합,
유료 콘텐츠 구독형
파로
(PARO)
인형형 (물개) 감정 교감, 안아주기 반응 600만 원 이상 일본 수입 제품
/ 정서 안정 특화
루보
(Luvo)
중형 스탠드형 인지자극, 응급 알림, 영상통화 250만 원~400만 원 지자체 연계 보급 가능
/ 일부 렌탈 지원
엔보이
(Enbㅇi)

중형 탁상형 알림, 음악, 간단 대화 150만 원 내외 복지관 시범 배치 사례 존재
엘리큐
(ElliQ)
스마트 스피커+화면 맞춤 대화, 리마인드, 가족 연결 200만 원대 (미국 내 기준) 국내 직접 구매 어려움,
해외 직구 가능성 있음

5. 가격 관련 참고사항

  • 🏛 실벗, 루보, 엔보이 등은 복지기관 중심으로 무상 지원 또는 시범 사업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 파이보, 루보 일부 모델개인이 구매 가능하며, 일부는 렌탈형 또는 구독형 서비스로 월 사용료 지불 가능.
  • 💡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또는 지자체 노인복지팀을 통해 지원 사업 여부 확인 가능.

6. 월 렌탈형 비용 예시

로봇명  렌탈 방식  월 사용료 (예상)  포함 기능
파이보 정기 구독형 약 2만~4만 원/월 콘텐츠 업데이트, 앱 연동
루보 복지관 연계 무료 또는 1~2만 원/월 응급감지, 가족 연동 포함

현재 국내 여러 지자체에서는 고령자와 경도인지장애(MCI) 초기 환자를 위한 AI 돌봄 로봇 보급 사업을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주요 지자체별 지원 현황을 요약한 내용입니다.


7.지자체별 AI 돌봄 로봇 지원 현황 (2025년 기준)

1) 서울특별시

  • 지원 대상:65세 이상 독거노인 및 경도인지장애 진단
  • 지원 방식:치매안심센터와 연계하여 로봇 무상 대
  • 주요 기능:인지 훈련, 약 복용 알림, 가족과의 영상통화 
  • 신청 방법:관할 보건소 또는 치매안심센터 방문 신

2)부산광역시

  • 지원 대상:고령의 독거노인 및 치매 고위험
  • 지원 방식:복지관과 협력하여 로봇 무상 보
  • 주요 기능:일상 대화, 건강 상태 모니터링, 응급 상황 알
  • 신청 방법:지역 복지관 또는 노인복지센터를 통해 신

3) 경기도

  • 지원 대상:노인 단독 가구 및 경도인지장애 진단
  • 지원 방식:지자체 예산을 활용한 로봇 무상 대
  • 주요 기능:인지 자극 콘텐츠 제공, 생활 알림, 정서적 교
  • 신청 방법:관할 주민센터 또는 보건소에서 신

4) 대구광역시

  • 지원 대상:치매 고위험군 및 독거노
  • 지원 방식:치매안심센터를 통한 로봇 보
  • 주요 기능:인지 훈련, 생활 알림, 가족과의 소통 지
  • 신청 방법:관할 치매안심센터에서 상담 후 신

5) 광주광역시

  • 지원 대상:고령의 독거노인 및 경도인지장애 진단
  • 지원 방식:복지관과 협력하여 로봇 무상 대
  • 주요 기능:일상 대화, 건강 상태 모니터링, 응급 상황 알
  • 신청 방법:지역 복지관 또는 노인복지센터를 통해 신

✅ 신청 전 확인사항

  • 진단서 또는 의사 소견서:경도인지장애 진단을 받은 경우, 관련 서류 제출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주민등록상 주소지:해당 지자체의 지원 대상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 기기 수량 제한:시범 사업의 경우, 보급 수량이 제한되어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 문의처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전국 공)
  • 치매상담콜센터 1899-998
  • 관할 보건소 또는 치매안심센터 지역별 연락처는 해당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