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실어증 재활치료
    카테고리 없음 2025. 4. 2. 06:47
    반응형

     


    실어증 재활치료: 핵심 개요

    치료 목적

    • 언어 기능 회복(자발화, 이해, 명명, 반복 등)
    • 대체 의사소통 수단(AAC 포함) 확보
    • 일상생활 의사소통 능력 향상
    • 정서적 고립 예방 및 사회적 참여 지원

    치료 접근의 기본 원칙

    1. 개별화 (Individualized Therapy)
      → 실어증의 유형, 손상 정도, 인지 기능, 환자의 요구와 목표에 따라 치료 내용이 달라져야 함
    2. 기능 중심 (Functional Communication)
      → 단순한 언어 기술보다 실생활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초점
    3. 다학제 협력 (Interdisciplinary)
      → 언어치료사, 작업치료사, 재활의학과, 사회복지사, 가족 등과 팀 기반 치료
    4. 지속성과 반복 (Intensity & Frequency)
      → 회복 초기에 집중적 치료가 효과적 (예: 주 3~5회 이상, 30–60분)

    실어증 유형별 세부 재활 전략


    브로카 실어증 (운동성 실어증)

    • 목표: 발화 유창성 회복, 문장 구성력 향상
    • 방법:
      • 자동화된 말 유도 (예: 숫자 세기, 요일 말하기)
      • 문장 완성: “나는 ____을 먹었다.”
      • 구문 재구성 훈련: 단어 조각을 올바른 순서로 배열
      • Melodic Intonation Therapy (MIT): 멜로디로 말 유도 (음악 활용)

    베르니케 실어증 (감각성 실어증)

    • 목표: 언어 이해 증진, 의미 기반 말하기 훈련
    • 방법:
      • 의미 선택 훈련: 단어 뜻 맞추기, 유사 단어 구분
      • 청각적 이해 훈련: 질문에 ‘예/아니오’로 응답, 그림 고르기
      • 자기 피드백 향상: 말한 내용 반복해 듣고 오류 인식 훈련

    전도 실어증

    • 목표: 반복 능력 개선, 말소리 인식과 구두조정 기능 향상
    • 방법:
      • 짧은 단어/문장 반복 훈련
      • 음운 인식 훈련: 유사 단어 구별하기, 음절 분리
      • 자기 수정 전략 훈련: 실수 후 바로잡는 연습 유도

    명명 실어증 (Anomic Aphasia)

    • 목표: 어휘 접근성 향상, 대체어 전략 훈련
    • 방법:
      • 명명 훈련: 그림 → 힌트 → 첫 음절 제공 → 단어 말하기
      • 범주화 훈련: 예) 동물 / 과일 / 색깔로 나누기
      • 말 유도 질문: “어떤 모양이에요?”, “무슨 색이에요?”

    글로벌 실어증

    • 목표: 기본 의사소통 확보, 비언어적 수단 활용
    • 방법:
      • 사진/아이콘 보드 사용 (Yes/No, 감정 표현, 음식 등)
      • AAC 보조도구: 그림판, 터치스크린, 음성출력기기
      • 기초 명령어 이해 훈련: "앉으세요", "손 주세요" 등
      • 가족 교육: 단순 문장, 제스처 병행 사용법 교육

     가족 및 간호 인력의 역할

    • 환자 언어 수준에 맞춰 말하기 (짧고 분명하게)
    • 힌트 제공 및 기다려주는 태도 유지
    • 반복 질문 피하고 ‘예/아니오’ 대화 적극 활용
    • 치료 목표에 맞춘 가정 내 훈련 과제 수행 지원

    🟦  회복 예측 요인

    항목 회복에 긍정적 영향
    발병 시기 급성기보다 조기 치료 개시
    나이 젊을수록 유리
    병변 범위 국소 병변 > 광범위 손상
    동반 질환 없음 > 인지장애, 우울증 동반 시 회복 지연
    가족/사회 지원 높을수록 회복 효과↑

     


     AAC 실제 사용 예시 (실어증 환자 중심)


    예시 1: 브로카 실어증 – 말이 잘 안 나올 때 그림판 사용

    🧓 환자: 중증 브로카 실어증 (이해는 가능하나, 말 표현 어려움)

    🗣️ 상황: 아침 식사 메뉴를 고르는 상황
    📲 AAC 사용: 그림카드판을 펼쳐 보여줌

    • [ 🍞 빵 ] [ 🍚 밥 ] [ 🍳 계란 ] [ ❌ 안 먹어요 ]
    • 간호사: "뭘 드시고 싶으세요?"
    • 환자: "👉 (밥 그림 가리킴)"
      말을 못해도 의사표현 성공!

    예시 2: 글로벌 실어증 – 기본 욕구 표현판 사용

    🧓 환자: 광범위 뇌손상으로 언어 전반 손상

    🗣️ 상황: 병동에서 환자가 불편함을 표현해야 하는 상황
    📲 AAC 사용: 그림 + 글자 통합 보드 사용

    • 환자에게 아래 그림/단어판 제공:

    😫 아파요 🚽 화장실 🛏️ 눕고 싶어요 🍽️ 배고파요 ☹️ 기분 나빠요 😃 괜찮아요

    • 환자: "👉 화장실 그림 가리킴"
      → 바로 화장실 이동 도와줌

    예시 3: 명명 실어증 – 단어 떠올리기 도움 앱 사용

    🧓 환자: 말은 유창하지만 단어가 잘 떠오르지 않음

    🗣️ 상황: 가족에게 “휴대폰”을 찾고 싶지만 단어가 생각 안 남
    📲 AAC 사용: 스마트폰 AAC 앱 (예: Proloquo2Go)

    • 앱에서 "물건 > 전자기기 > 📱 휴대폰" 아이콘 탭
    • 기기가 "휴대폰"이라고 음성 출력
      가족이 바로 이해하고 가져다줌

    예시 4: 전도 실어증 – 반복 대신 아이콘 선택

    🧓 환자: 말도 되고 이해도 되지만, 반복이 어려운 환자

    🗣️ 상황: 치료사가 "자동차"라는 단어를 따라 말하게 하려는 중
    📲 AAC 사용: 선택형 단어판 제공

    • 말은 잘 못 따라하지만
    • 화면에 나온 [🚗 자동차], [🚌 버스], [🚕 택시] 중
    • 환자: "👉 자동차 선택"

    → 반복이 안 되더라도 의미 파악과 표현은 가능


    🛠️ 보완대체의사소통(AAC) 도구

    종류 예시 특징
    저기술(Non-tech) 그림카드, 화이트보드 비용 저렴, 휴대 쉬움
    중간기술 간단한 버튼형 음성 출력기 반복 표현에 적합
    고기술(High-tech) 태블릿 기반 AAC 앱 (예: Proloquo2Go) 다양한 표현 가능, 설정 필요

    🧩 실어증 유형별 AAC 샘플 화면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