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약물 완전정복 시리즈
                
              응급카트 약물 구성 완전 해부 – 약물별 용도, 사용 팁, 간호 기록 예시까지!
                혈당스파이크
                 2025. 8. 2. 23:43
              
              
                    
        728x90
    
    
  반응형
    
    
    
  《응급약물 완전정복 시리즈》

🚑 응급카트 약물 구성 완전 해부 – 약물별 용도, 사용 팁, 간호 기록 예시까지!
📌 목차
1️⃣ 들어가며
응급카트(Crash Cart)는 심정지, 쇼크, 호흡곤란, 아나필락시스 등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상황에서 가장 먼저 활용되는 장비입니다. 응급카트는 필수 약물, 기구, 소모품을 표준화된 방식으로 배치하여, 위급 상황 시 누구든지 빠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어야 합니다.
2️⃣ 응급카트 구성의 기본 원칙
- ✅ 자주 사용하는 약물은 위쪽 서랍, 기구와 소모품은 아래쪽에 배치
 - ✅ 약물은 심정지·부정맥·쇼크·호흡기·특수상황 등 카테고리별로 분류
 - ✅ 라벨링, 유효기간, 수량 점검을 교대마다 실시
 - ✅ 서랍 외부에 약물 리스트를 부착하여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구성
 - ✅ 정기적인 모의훈련으로 응급 대응 능력 향상
 

3️⃣ 응급카트 위치별 구성 (5층 기준, 항경련제 제외)
| 층 | 카테고리 | 약물/기구 | 용도 | 
|---|---|---|---|
| 🟥 1층 | 심정지 & 부정맥 | 에피네프린, 아트로핀, 아미오다론, 리도카인, 아데노신 | 심정지, 서맥,  제세동 불응성 부정맥 치료  | 
| 🟧 2층 | 쇼크 & 혈압 조절 |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희석제, 바소프레신 | 저혈압, 쇼크, 아나필락시스 시 혈압 유지  | 
| 🟨 3층 | 호흡기 & 특수 상황 | 살부타몰, 글루카곤, 포도당(50%), 날록손, 칼슘 글루코네이트 | 기관지 확장, 저혈당 교정,  해독제, 전해질 보충  | 
| 🟩 4층 | 응급기구 | 후두경, 기관삽관 튜브, 흡인 카테터, 산소 마스크, 네뷸라이저 키트 | 기도 확보 및 산소 공급,  삽관 및 흡인  | 
| 🟦 5층 | 소모품 | 주사기, 앰부백, IV 세트, 정맥관, 라벨지, 장갑, 알코올솜 | 기본 주입,  처치 및 투약 준비에 사용  | 
4️⃣ 약물별 사용 팁과 주의사항
💉 에피네프린
- 심정지 시 1mg IV every 3~5분
 - 투여 후 20mL 생리식염수 플러시로 약물이 빠르게 전달되도록 함
 
💉 아트로핀
- 서맥 시 0.5mg IV every 3~5분 (최대 3mg)
 - 심정지 상태에는 효과 없음
 
💉 아미오다론
- 제세동 불응성 VF/VT 시 300mg IV bolus
 - 필요 시 150mg IV 추가 투여 가능
 
💉 노르에피네프린
- 패혈성 쇼크, 심한 저혈압 시 0.05~0.5mcg/kg/min으로 지속 주입
 - 가능하면 중심정맥로 사용 (말초정맥은 혈관 손상 위험)
 
💉 살부타몰
- 네뷸라이저 2.5mg/3mL 생리식염수 희석 후 흡입
 - 급성 천식 발작 시 산소 공급과 병행
 

5️⃣ 간호 기록 예시
📄 SOAP 형식
S: 보호자가 "환자가 갑자기 의식을 잃었다"고 호소함.
O: 의식 소실, GCS 3점, BP 60/30, HR 35회, SpO₂ 80%.
A: 심정지로 판단, CPR 시작, 에피네프린 1mg IV 투여.
P: 3~5분 간격으로 에피네프린 추가 투여, 제세동 실시, ROSC 후 활력징후 기록.
📄 FDAR 형식
F: 환자 의식 소실, 무맥성 상태 확인됨.
D: 심정지로 판단, CPR 즉시 시작.
A: 에피네프린 1mg IV 투여, 앰부백으로 산소 공급, 제세동 1회 실시.
R: ROSC 5분 후 회복, 활력징후 안정됨, 이후 심전도 모니터링 지속.
6️⃣ 응급카트 점검 체크리스트
| 점검 항목 | 내용 | 점검 주기 | 
|---|---|---|
| 약물 수량 | 필수 약물이 적정 수량으로 준비되어 있는지 확인 | 교대 시마다 | 
| 유효기간 | 모든 약물의 유효기간 확인, 만료 예정 약물 교체 | 교대 시마다 | 
| 장비 작동 상태 | 후두경, 흡인기, 산소 마스크, 앰부백 정상 작동 여부 확인 | 교대 시마다 | 
| 소모품 준비 | 주사기, IV 세트, 정맥관, 장갑, 라벨지 비치 상태 확인 | 교대 시마다 | 
| 외부 라벨링 | 서랍 외부 약물 리스트와 라벨이 잘 부착되어 있는지 확인 | 매주 | 
7️⃣ 팀별 역할 분담 방법
- 👩⚕️ 리더 간호사: 환자 상태 평가, 지시 전달, 의사에게 보고
 - 💉 투약 담당: 약물 준비, 투여, 투여 시간·용량 확인
 - 🩺 기록 담당: 모든 처치 내용 기록, 시간·약물·반응 기록
 - 🛠 장비 담당: 제세동기, 산소, 흡인기 등 장비 세팅 및 지원
 - 📞 지원 인력: 보호자 안내, 필요한 추가 장비 요청
 
8️⃣ 정리 및 마무리
응급카트는 응급 상황에서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핵심 장비입니다. 약물의 위치, 용도, 투여 방법을 숙지하고 교대 시마다 점검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카트 점검과 모의훈련을 통해 팀 간 협력 체계를 확립하면, 실제 상황에서도 혼란 없이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