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별 건강정보/뇌신경 질환 (치매, 뇌졸중, 파킨슨병 등)

레비소체 치매(DLB) – 치매와 파킨슨의 경계에 있는 질환

혈당스파이크 2025. 7. 27. 23:17
728x90
반응형

🧠 레비소체 치매(DLB) – 치매와 파킨슨의 경계에 있는 질환


1️⃣ 레비소체 치매(DLB)란 무엇인가?

레비소체 치매(Dementia with Lewy Bodies, DLB)는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의 특징을 동시에 보이는 퇴행성 뇌질환입니다.
뇌 속에 레비소체(Lewy body) 라는 비정상 단백질이 축적되어 신경세포 손상과 인지기능 저하가 발생합니다.
전체 치매 환자의 **약 10~15%**를 차지하지만, 초기 증상이 다양해 치매 진단에서 간과되기 쉽습니다.

 


2️⃣ 주요 증상 – 다른 치매와 구별되는 특징

레비소체 치매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인지 기능 변동

  • 하루에도 집중력, 판단력, 기억력이 좋았다 나빠졌다 하며 상태 변동이 큽니다.

✔ 생생한 환시(幻視)

  • 없는 사람이 보이거나, 동물이 보이는 등 시각적 환각이 매우 흔합니다.

✔ 파킨슨 증상 동반

  • 걸음이 느려지고, 몸이 굳으며, 작은 보폭으로 걷는 특징적인 파킨슨 증상이 나타납니다.

✔ 렘수면 행동장애(RBD)

  • 꿈을 꾸며 손발을 움직이고 소리를 내는 행동이 나타납니다. 이는 DLB의 초기 징후일 수 있습니다.

✔ 항정신병 약물 과민반응

  • 일반적인 치매 환자에게 사용하는 항정신병 약물에 심각한 부작용을 보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3️⃣ 레비소체 치매 vs 알츠하이머병 vs 파킨슨병 치매

구분 레비소체 치매 (DLB)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치매
발병 순서 치매와 파킨슨 증상이 거의 동시에 기억력 저하가 먼저 파킨슨 증상 발생 후 1년 이상 지나 치매
특징적 증상 환시, 인지 변동, 렘수면 행동장애 초기 기억장애 중심 파킨슨 증상 이후 서서히 치매
약물 반응 항정신병 약물 부작용 ↑ 비교적 안전 레보도파 반응 有
 

 


4️⃣ 정확한 진단을 위한 검사

레비소체 치매는 오진률이 높기 때문에 다각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 신경학적 검사 + 인지기능 검사(MMSE, MoCA)

📷 MRI, PET 뇌 영상검사로 뇌 위축과 대사 이상 확인

😴 렘수면 행동장애 여부 평가

💊 약물 복용력과 증상 발병 순서 확인

 

👉 조기 진단이 늦어지면 치료 효과가 떨어지고 예후가 나빠질 수 있습니다.


5️⃣ 치료 방법과 관리

💊 약물치료

  • 레보도파 → 파킨슨 증상 완화
  • 콜린에스터라제 억제제 → 인지기능, 환각 개선

항정신병 약물은 신중히 사용, 부작용으로 인한 증상 악화 가능

 

🏋️ 비약물 치료

  • 균형 운동, 근력 운동, 낙상 예방 훈련
  • 퍼즐, 책 읽기, 음악 치료 등 인지 재활 프로그램
  • 환자의 행동 변화에 맞춘 가족 교육과 환경 조정 필수

6️⃣ 가족이 반드시 알아야 할 점

✅ 환자는 하루에도 상태가 크게 변동될 수 있음
✅ 환각·망상이 있어도 강하게 부정하지 말고 공감적 태도로 대응
✅ 낙상 방지를 위해 집안 환경(조명, 장애물 제거) 조정이 필요
정기적인 병원 진료와 전문의 상담을 통해 맞춤형 치료 유지


7️⃣ 핵심 요약

📌 레비소체 치매는 치매와 파킨슨병 증상이 동시에 나타나는 퇴행성 뇌질환입니다.
📌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 치매와 구별하기 어렵지만, 특징적인 증상을 이해하면 조기 진단이 가능합니다.
📌 빠른 진단과 맞춤형 치료, 가족의 이해와 돌봄이 환자의 삶의 질을 지키는 핵심입니다.

728x90
반응형